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피부에 붙일 수 있는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 소자를 개발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영화에서처럼 피부 위로 영상을 볼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연구팀은 14일 세상에서 가장 얇고 자유롭게 휘어지며 해상도도 가장 높은 QLED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소자는 머리카락의 약 40분의 1(2.6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한 초박막 필름 소자로 마음대로 구부리고 늘릴 수 있다. 또 저전압에서도 작동하기 때문에 사람의 피부에 부착시킨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해상도는 세계최고 수준인 2,460ppi(인치당 픽셀 수)로 갤럭시S6·G3·아이폰6 등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나 액정화면(LCD)을 사용하는 최신 스마트폰의 4~7배, 고해상도 TV(HD TV)의 42배에 이른다.
QLED는 나노크기(10억분의 1m)의 양자점을 발광소자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전류를 흐르게 하면 양자점이 청색, 녹색, 적색 빛을 내는데 OLED에 비해 색 재현율이 우수하고 수분, 산소 등 주변 환경에 대한 안정성도 높다. 연구진은 올초에 국내에 관련 특허를 출원했고 국제 특허 출원도 준비 중이다.
현택환(사진) IBS 단장은 “두껍고 휘어지기 어려웠던 기존 웨어러블 기기의 단점을 완전히 해결하면서 초고해상도를 가진 양자점 LED는 이것이 세계최초”라며 “이제 LED 분야에서 미국 등 선진국을 확실히 앞섰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제화·생산공정 기술만 개발하면 양산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14일자로 온라인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