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산운용사 최고경영자(CEO)들은 운용 업계 이익 개선을 위해 펀드 관련 세제혜택을 추가적으로 확대하고 가입 자격요건을 완화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서울경제신문이 국내 대형 자산운용사 CEO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38.8%가 자산운용 업계가 성장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제도로 '각종 펀드 세제혜택 추가 확대 및 가입 자격 완화'를 최우선순위로 꼽았다. 그 뒤를 이어 대체투자펀드 신상품 개발을 위한 규제 철폐(27.8%), 신상품 판매·운용·공시 등 규제 완화(16.7%), 사모펀드 최고가입금액 규제 축소(16.7%) 순이었다.
지난해 말 펀드 업계의 숙원이었던 장기세제혜택펀드가 나왔지만 정작 자산운용사 CEO들은 세제혜택 추가 확대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는 지난해 12월31일 본회의를 열고 장기세제혜택펀드 도입을 허용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처리했다. 장기세제혜택펀드는 주식에 40% 이상 투자하는 주식형 펀드에 5년 이상 가입하면 연간 납입액의 40%, 최대 240만원까지 소득공제혜택을 받는 펀드다.
장기세제혜택펀드의 가입 대상은 연소득 5,000만원 이하인 근로자다. 이에 따라 연봉 5,000만원인 근로자가 1년에 600만원을 장기세제혜택펀드에 투자하면 연간 납입액의 40%인 240만원을 소득공제 받는다.
자산운용 업계에서는 장기세제혜택펀드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연소득 5,000만원 이하의 근로자라면 세후소득으로 따져봤을 때 실제로 펀드를 통해 투자할 수 있는 여력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펀드 가입 대상 자격요건을 더욱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 이들은 주식형 펀드 설정액을 확대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조치로 '퇴직연금의 펀드투자 유도 등 대규모 기관자금 유치'를 47.1%로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펀드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신상품 개발(35.3%)' '펀드 판매 절차 간소화(11.8%)' '펀드운용 수수료 인하(5.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국내 대형 자산운용사들도 기관을 대상으로 영업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실시하는 등 대대적인 기관 모시기에 나서고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기관투자가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투자솔루션총괄' 조직을 신설하는 내용으로 조직개편을 단행하는가 하면 삼성자산운용도 기존 마케팅본부에 소속돼 있던 연기금운용부서를 분리해 '기금운용총괄본부'를 신설했다. 운용사들이 이처럼 기관을 겨냥한 조직개편에 나서고 있는 것은 공모펀드시장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관 자금을 한푼이라도 더 유치해야 안정적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