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소재 외국인직접투자기업(외투기업) 들이 수출에 기여하는 공은 크지만 고용 창출과 설비투자 측면에서는 성과가 기대에 못 미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정부가 외투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를 만들 때 고용 창출 효과 등에 보다 초점을 맞춰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3일 국내 외투기업의 고용인원, 설비투자 비중, 연구개발(R&D)투자 비중, 수출 비중 등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매출 10억원당 고용인원은 외투기업이 지난 2009년 기준 3.3명으로 국내 기업(4.9명)에 비해 평균 1.6명 낮게 나타났다. 김민정 연구위원은 "외투기업의 경우 자본집약적 생산구조를 갖고 있어 고용창 출력이 국내 기업보다 더 낮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매출액 대비 설비투자 비중도 외투기업이 2009년 6.0%로 국내 기업(7.5%)보다 평균 1.5%포인트 낮았다. 다만 매출액 대비 R&D투자 비중은 2009년 기준 외투기업이 1.9%로 2006년의 1.7%보다 오른 반면 국내 기업은 같은 기간 1.9%로 정체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정보기술(IT)과 기계산업에서 외투기업의 매출액 대비 R&D투자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대비 수출 비중은 외투기업이 2009년 기준 26.6%로 국내 기업(17.5%)보다 높아 수출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최근 실업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니 만큼 외투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도 고용 및 투자 확대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이는 방안을 정부가 고려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