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일본의 육상자위대와 미군 제3해병원정단은 21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37일간 미국령 괌과 테니안 섬 등에서 일본의 도서방위를 상정한 합동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오키나와와 나가사키 주둔 육상자위대 40여명이 참가하는 이번 훈련은 중국의 해양진출을 염두에 둔 것으로 센카쿠열도를 사이에 두고 표출된 중일 갈등 직후 열리는 만큼 중일관계 악화에 기름을 부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의 마틴 뎀프시 합참의장과 일본 자위대의 이와사키 시게루 통합막료장이 오는 23일 미 워싱턴에서 회담을 갖고 일본의 도서방위 공조 강화에 합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일본 방위성은 또 중국의 해양활동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차기 중기방위력정비계획(2016~2020년) 기간에 글로벌호크 3기와 정보해석장치 1기를 도입해 미군과 공동 운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마이니치신문이 전했다. 일본 방위성의 한 관계자는 최근 중국의 해양진출이 활발해지고 있어 "기존 유인정찰기인 P3C 등 현재 태세로는 (중국에 대한 감시가) 점점 벅차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센카쿠열도 영유권을 둘러싼 양국 대립은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일본 언론들은 19일 일본 초당파 의원 등 150여명이 2차대전 당시 숨진 사람들의 해상 위령제를 올린다는 명목으로 센카쿠 주변에 도착했으며 이 중 10명이 센카쿠에 상륙했다고 전했다.
중국 외교부는 친강 대변인 성명을 통해 강력 항의했으며 19일에는 중국 베이징시와 광둥성 광저우시 등 전국 10여곳에서 각각 수백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반일시위가 열렸다. 쓰촨성 성두시에서는 3,000명이 넘는 시위대가 모여 일본 제품 불매 구호를 외치며 가두행진을 벌였으며 그 여파로 이세탄 등 일본 유통매장이 안전을 이유로 조기에 문을 닫는 등 영업에 지장을 받기도 했다. 또 지난주 센카쿠열도에 상륙했다가 일본 당국에 체포됐던 홍콩 활동가들은 10월께 재상륙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는 등 양국의 상호 도발과 그로 인한 감정악화가 격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 2010년 6월 임명된 니와 우이치로 주중 일본대사를 10월에 교체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