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안타까운 것은 이번 사고가 예견된 사고였다는 점이다. 잠수사들의 피로 누적과 부상으로 인한 대형 사고 발발 가능성을 언론이 숱하게 경고했건만 기어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사고경위를 더 따져봐야 하겠지만 의구심이 드는 게 하나둘이 아니다. 총리와 야당의 대권후보를 지낸 정치인이 잠수사들에게 대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음에도 제대로 지켜졌는지 의문이다. 오죽하면 실종자 가족들이 직접 밥상을 꾸려 배를 타고 사고해역에 찾아가 잠수사들에게 식사를 대접했을까. 2인1조 투입이 원칙임에도 홀로 잠수한 고인이 꼬인 공기 줄 때문에 변을 당했다는 정황도 풀어야 할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안전의식 미비로 빚어진 참사현장의 구조작업에서조차 안전수칙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안전불감증의 민낯을 다시금 드러낸 일이다.
더욱 부끄러운 현실은 잠수사 사망사고를 진영논리로만 보는 일부의 시각이다. 사고를 '실종자 가족들의 억지 요구 탓'으로 몰아가거나 '대통령의 진도 2차 방문 이후 무리하게 진행된 구조작업 탓'이라는 글들이 인터넷을 떠돌고 있다. 누구의 책임을 묻기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학생들의 희생에 가슴이 아픈 만큼 가족이 있는 잠수사들의 생명도 고귀하다. 세월호의 64개 격실을 모두 개방했음에도 실종자가 35명이나 남아 있지만 더 이상의 무리한 작업은 피해야 한다. 우리의 잘못을 잊지 말되 더 이상의 희생은 없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