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의 이번 조치는 일단 법원의 판결에 따른 것이기는 하나 사회양극화 해소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대승적 결정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런데도 노조 일각에서 이번 조치에 대해 8,000명 근로자 전원의 정규직화를 관철시켜야 한다며 기존 입장을 고집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법원도 2년 이상 실질적으로 정규직과 같은 생산라인에서 같은 업무를 한 근로자만 정규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노조의 주장은 생떼쓰기에 다름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니 노조 강경세력이 현 집행부를 흔들기 위해 의도적인 트집 잡기에 나선다는 비판까지 자초하는 것이다. 현대차 노조는 비대해진 조직과 경영비용 부담에 맞춰 이번 조치를 계기로 삼아 생산성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 르노삼성이나 GM 등 국내외 경쟁업체들이 앞다퉈 구조조정에 나서는 마당에 인력 재배치조차 쉽게 이뤄지지 않는 현실은 하루빨리 개선돼야 마땅하다.
현대차의 결정이 다른 산업현장에도 일률적으로 적용돼야 한다는 주장 또한 경계해야 한다. 당장 조선업계와 철강 등 대형 사업장에서는 노조의 정규직화 요구가 더욱 거세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개별 기업마다 처한 근로여건이나 경영사정이 다른 만큼 노사 합의를 통해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정부나 정치권도 기업의 경영부담과 생산실태를 감안해 산업현장의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하루빨리 정비해야 한다.
무엇보다 걱정스러운 것은 개별기업의 인력정책이 정치사회적 분위기 등 경영외적 요인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이다. 정치권이 경제민주화니 재벌개혁이니 하고 압력을 넣는 통에 기업들은 운신의 폭이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다. 현대차의 정규직 조치가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도록 모두의 노력과 협조가 절실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