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세월호 참사라는 국가적 재난 상황에 직면해 안 내정자가 풀어가야 할 과제는 만만치 않다. 사실상 조각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후속 개각인사를 책임져야 할 뿐 아니라 세월호 수습을 위해 마련된 각종 정책방안을 정교하게 수립하고 실행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실추된 행정부의 명예를 되살려야 하는 책무까지 안고 있다. 안전업무를 총괄하는 국가안전처와 공직개혁 기구인 행정혁신처가 총리 직속으로 신설될 예정이어서 안전과 인사까지 직접 떠맡지 않으면 안 된다. 결국 세월호 전(前)과 후(後)를 가를 국가개조에 관한 국정 전반을 진두지휘하는 컨트롤타워로서 추진력과 능력을 시험받게 됐다.
그러나 너무 많은 일을 한꺼번에 벌이기보다 작은 것부터 차근차근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 내정자는 우선 헌법상 보장된 총리의 권한인 장관 임명제청권과 내각통괄권을 제대로 가져 그동안 총리에게 붙여졌던 '대독(代讀)총리' '대통령 방탄조끼' 등의 오명부터 벗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통령에게도 필요하다면 쓴소리를 해야 하고 또 정부 조직개편 등 세월호 이후에 만들어질 각종 법안의 통과를 위해서라도 야당과 긴밀히 소통해나갈 수 있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