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중순 이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3.7~3.8% 사이에서 등락을 이어가고 있다. 물가상승 부담이 크지만 풍부한 자금여력 속에 장기 투자기관들의 저가매수세가 유입됐다. 반대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남아 있어 단기금리 하락이 멈추고 금리 등락폭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채권시장에서 우려하는 긴축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보고에서 재정경제부 장관과 한국은행 총재에게 쏟아진 질문과 질책은 주로 인플레이션과 관련한 내용이었다. 또 환율 하락폭이 커지면서 한국은행은 26일부터 외국계 은행을 대상으로 선물환포지션 공동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외국인과 은행의 외환과 채권 관련 포지션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상과 유동성 규제가 있지만 국내 채권시장과 금리에 충격이 작았던 이유는 풍부한 유동성에 기인한다. 주로 외국인 채권매수로 표면화되는 대외유동성 유입이 이뤄졌기 때문에 시중금리는 국내의 정책과 여건과 달리 안정을 보였던 것이다. 따라서 대외유동성 효과가 약화된다면 그간 응축됐던 금리 상승재료가 단기간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대외유동성 동향은 미묘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일본 지진으로 유동성완화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지만 글로벌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고 금융시장은 단기간에 정상화됐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지난 7일 기준금리를 1.25%로 인상했으며 하반기에도 금리인상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도 최근 주요 연방준비위원회(FRB) 인사들이 긴축 가능성을 시사했고 오는 6월로 양적완화가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7일 발표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통해 선진국의 통화정책 스탠스가 어느 정도 변할지 알 수 있을 것이며 국내 유동성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단기간에 유동성 여건이 급격하게 변할 가능성은 낮지만 정책의 변화 가능성이 제기된다면 충격을 피할 수 없다. 국고채 3년물 금리 3.8%대에서 대기매수세 속에 외국인 영향력도 큰 편이어서 시중금리가 변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FOMC 회의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리스크 관리가 우선시되면서 국내 채권시장은 약세(금리상승) 흐름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