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오창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 준공으로 국내외 경쟁사들을 압도하는 생산능력을 확보해 글로벌 선두기업의 기반을 더욱 확고히 다지게 됐다. 특히 폴리실리콘처럼 전기차 배터리 역시 '규모의 경제'가 관건인 상황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오창 공장은 LG화학의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해줄 도약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전극, 조립, 활성화, 팩 제조까지 전기차 배터리 전공정의 일관생산체제를 구축, 효율을 극대화해 월등한 가격경쟁력을 갖췄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아울러 글로벌 미래 신사업인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한국이 세계시장을 선점함으로써 녹색 신기술 부문의 국가 경쟁력과 위상이 덩달아 높아지게 된 것도 큰 수확이다. 대규모 일자리 창출과 중소 협력회사와의 동반성장 등 국가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는 점도 주목된다. 이미 LG화학은 1공장에서 생산되는 배터리를 GM의 전기차 쉐보레 볼트를 비롯해 현대ㆍ기아차의 아반떼, 쏘나타 하이브리드카 등 현재 양산되고 있는 다양한 차종에 공급 중이다. 특히 쉐보레 볼트의 예약판매 호조 등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주문이 급증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오창 공장에 이어 오는 2013년까지 국내와 미국에 추가 증설을 통해 생산능력을 올해 10만대에서 약 4배 증가한 35만대 이상으로 대폭 늘릴 방침이다. '주마가편' 전략에 따라 한번 잡은 승기를 놓치지 않고 전기차 배터리 글로벌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며 업계를 선도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LG화학은 기존 1조원의 투자 규모를 두 배 늘린 2조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내년 가동을 목표로 1공장 바로 옆에 연면적 6만7,000㎡ 규모(2만평)의 2공장과 함께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현지 공장을 동시에 건설하고 있다. LG화학은 이 같은 대규모 생산 설비 투자와 함께 GM, 포드, 르노, 현대ㆍ기아차 등 10개 이상의 글로벌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보증된 공급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2015년 세계 전기차 시장점유율을 25% 이상으로 늘리면서 매출 4조원을 달성해 세계 1위 자리를 이어갈 계획이다. LG화학은 지난해 2015년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의 매출목표를 2조원에서 3조원으로 올려 잡았지만 최근 추가 공급처 확보가 가시화되면서 매출 목표를 4조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기자동차용 전지는 휴대폰용 전지보다 6,000~8,000배 용량이 큰 제품으로 아직 시장 규모는 1조원 미만으로 추산된다. LG화학은 지난해 7월 미국 미시간주에 연 2,000만개 생산 규모의 공장 건설에 착수했으며 기공식에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기도 했다. LG화학에 이어 삼성SDI도 독일 보쉬사와 함께 SB리모티브를 설립, 지난해부터 전기차 배터리를 양산하고 있다. SK에너지도 지난해 현대차가 생산한 국내 첫 전기차인 '블루온'에 2차전지를 공급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