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연 6.07%였던 신규 신용대출금리는 올 1월 7.23%로 급등했다. 한 달 새 무려 1%포인트 넘게 뛰어올랐다.
신용대출은 일반 신용대출과 아파트 계약자들을 위한 집단대출로 나뉘는데 일반 신용대출은 연 8.16%까지 치솟았다.
연 8% 이하로는 은행 창구에서 신용대출을 받기 어렵다는 뜻이다.
최근 5년간 신용대출금리가 가장 높았던 때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어닥친 2008년 11월로 연 8.06%에 달했다.
이후 한국은행의 통화 확장정책이 본격화하자 신용대출금리는 같은 해 12월 연 7.94%, 2009년 1월 5.93%로 빠르게 떨어졌다.
이후 지난해까지 3년 동안 연 5~6%대를 유지했다.
이 같은 신용대출금리의 움직임은 수신금리와 비교하면 문제가 크다. 은행 수신의 양대 기반인 정기예금(1년 만기)과 은행채 금리는 올 들어 각각 0.05%포인트 떨어졌다. 예금금리는 낮춰 돈은 더 싸게 조달하면서 대출금리만 높인 것이다.
이에 따라 서민들의 이자 부담은 더욱 커지게 됐다. 새해 들어 이어지는 생필품 가격 급등에다 대출 이자까지 더 내야 할 처지에 놓이게 된 것이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대출 억제책이 이어지면서 은행의 '갑' 위치가 확고해져 대출금리를 마음대로 올릴 수 있게 됐다"며 "서민들의 이자 고통에 기름을 부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했다.
은행들은 이에 대해 리스크 관리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새해 들어 리스크 관리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지점장 전결금리 등 대출금리 인하요인을 없앴다"며 "연말 실적관리를 위해 지난해 말 대출금리를 낮춘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