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운데 ‘예전이나 지금이나 저소득층’이라는 응답은 34.6%, ‘예전에는 중산층이었으나 현재는 저소득층’이라고 답한 경우는 15.5%였다. ‘계층이 하락했다’는 응답은 19.1%를 점했다.
반면에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여긴 응답자는 46.4%였다. 통계청의 중산층 비중(64%)과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다만 ‘외환위기’ 당시인 98년 같은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주관적 중산층 응답비율(34.8%)보다는 높았다. 현재의 경제침체가 심각한 수준이긴 하지만 심리적인 면에선 외환위기 때를 더욱 심각하게 느꼈다는 의미라고 보고서는 풀이했다.
스스로 고소득층이라고 답한 비율은 1.9%에 불과했다. 이 역시 통계청의 고소득층 비율(20.8%)에는 한참 못 미쳤다.
향후 계층상승이 가능한지에 대해선 ‘어려울 것’이라는 응답이 98.1%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계층상승이 어려운 이유로는 ‘양극화 진행’(36.3%), ‘체감경기 부진’(21.5%), ‘좋은 일자리 부족’(12.1%), ‘과도한 부채’(11.4%) 등을 꼽았다.
계층하락 요인으로는 소득감소와 부채증가를 주로 꼽았다. 저소득층 전락 원인에 대해선 연령별로 생각이 달랐다. 20대는 ‘불안정한 일자리’(33.3%)와 ‘실직’(7.4%) 등 일자리 관련 응답이 비중이 높았다. 30대는 ‘대출이자 등 부채증가’가 22.2%로 가장 많았다. 이는 결혼 이후 전세자금 또는 주택구입 때문으로 추정됐다. 40대는 ‘과도한 자녀교육비 지출’이 24.4%로 가장 높았고 50대 이상은 ‘소득감소’(37.4%), ‘불안정한 일자리’(16.5%), ‘실직’(7.7%) 등 순이었다.
중산층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은 물가안정(23.2%), 일자리 창출(19.7%), 주택시장 안정과 주거비 지원(15.4%), 경기 활성화(14.8%), 사교육부담 완화(12.2%) 등 순서로 제시됐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