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경제·마켓최신순인기순

  • 멈춤없는 美 트럼프의 ‘약탈 서사’…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해야  [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
    멈춤없는 美 트럼프의 ‘약탈 서사’…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해야 [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
    경제·마켓 2025.04.21 08:06:22
    ▲ AI 프리즘*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6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글로벌 금융시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강도 관세 정책으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미국 국채와 달러 시장에서 전방위적 투매가 발생하는 등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가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19
  • 트럼프 “외국의 수십 년간의 부당행위 바로잡아야”
    트럼프 “외국의 수십 년간의 부당행위 바로잡아야”
    경제·마켓 2025.04.21 08:01:1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의 수십 년간의 부정행위를 바로잡아야 한다며 각국의 대표적 비관세 부정행위(NON-TARIFF CHEATING) 8가지를 소개했다. 특히 유럽연합(EU), 일본의 사례를 콕 집어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부활절인 20일(현지 시간) 트루스소셜에 "'해방의 날'(4월 2일 상호관세 발표일) 선포 이후 많은 세계 지도자와 기업 경영자들이 관세 완화를 요청하러 나를 찾아왔다"면서 "우리가 진지하다는 점을 세계가 알고 있다는 건 좋은 일이다. 우리는 진지하기 때
  • [르포]美, '관세 사재기' 조짐…“가격 뛸라”車도 앞당겨 구매
    [르포]美, '관세 사재기' 조짐…“가격 뛸라”車도 앞당겨 구매
    경제·마켓 2025.04.21 06:32:57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미국 소매시장에서는 이른바 ‘관세 사재기’ 조짐이 확연하다. 관세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이는 품목 중 유통기한이 긴 제품군을 중심으로 미리 쟁여놓는 움직임이 미 전역에서 포착되고 있다. 특히 25%의 관세가 발효된 자동차의 경우 차 값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에 구매하는 ‘막차 수요’도 몰리고 있다. 19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내 북쪽 조지아애비뉴에 자리한 월마트에서 만난 롭 마빈 씨는 “관세정책으로 프랑스산 술을 쟁여두고 있다”고 귀띔했다. 쇼핑카트에 휴지·음료수·식
  • 안먹어본 사람 없다더니…전세계 '피스타치오' 씨 말린 이것 [글로벌 왓]
    안먹어본 사람 없다더니…전세계 '피스타치오' 씨 말린 이것 [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4.21 06:30:00
    피스타치오를 넣은 '두바이 초콜릿'이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통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세계적으로 피스타치오 품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19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피스타치오 커널(껍데기를 깐 알맹이) 가격은 현재 파운드당 10.30달러(약 1만 4600원)로 1년 전 7.65달러 대비 약 35% 뛰었다. 두바이 초콜릿은 2021년 아랍에미리트(UAE) 초콜릿 업체 FIX가 출시한 피스타치오 크림, 중동식 슈레드 페이스트리, 밀크 초콜릿을 결합한 제품이다. 이 초콜릿은 2023년 1
  • 美폭탄 관세에…휴지부터 자동차까지 '사재기' 나섰다 [글로벌 모닝 브리핑]
    美폭탄 관세에…휴지부터 자동차까지 '사재기' 나섰다 [글로벌 모닝 브리핑]
    경제·마켓 2025.04.21 05:50:00
    ※[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가격 뛸라”…美, 자동차까지 사재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미국 소매시장에서는 이른바 ‘관세 사재기’ 조짐이 확연하다는 소식입니다. 관세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이는 품목 중 유통기한이 긴 제품군을 중심으로 미리 쟁여놓는 움직임이 미 전역에서 포착되고 있습니다. 특히 25%의 관세가 발효된 자동차의 경우 차 값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에 구매하는 ‘막차 수요’도 몰리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통계에서도 포착되고 있는데요. 미국의 3월 소매판
  • "사장님은 모른다는데"…신속집행의 민낯[Pick코노미]
    "사장님은 모른다는데"…신속집행의 민낯[Pick코노미]
    경제·마켓 2025.04.21 05:30:00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올해 역대급 신속집행(중앙재정 67%)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책 수요자에게는 와닿질 못하고 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 위기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영세 소상공인을 돕겠다”며 시작한 배달·택배비 지원 사업은 80%의 명목상 집행률과 달리, 체감도는 5%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정부가 올해 1분기(1~3월)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보다 신속집행에 집중했던 것을 감안하면 맥이 빠지는 수준이다. 21일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실이 중소벤처기업
  • 대만, 美관세 폭탄에 3.9조 규모 기업 지원 추진
    대만, 美관세 폭탄에 3.9조 규모 기업 지원 추진
    경제·마켓 2025.04.21 05:20:00
    대만이 880억 대만달러(약 3조 8800억 원) 규모의 기업 지원 계획안을 발표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만 기업에 32%의 고율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피해가 우려되는 기업들에 대규모 현금 지원안을 내놓은 것이다. 20일 자유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줘룽타이 대만 행정원장(총리 격)은 전날 북부 신베이시 투청산업단지에서 열린 관련 의견 청취 행사에서 "업체가 미국 관세로 인한 영향을 받는다는 설명만 하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관련) 신청조건을 완화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기업 지원안을
  • 日 "2040년까지 투자 두 배 늘려 GDP 60% 확대"
    日 "2040년까지 투자 두 배 늘려 GDP 60% 확대"
    경제·마켓 2025.04.20 22:31:59
    일본 경제산업성이 2040년까지 국내 설비 투자를 현재의 약 두 배 수준인 200조 엔(약 2000조 원)으로 확대하는 성장 시나리오를 수립했다. 이를 통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1000조 엔(약 1경 원) 규모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20일 요미우리신문은 이같은 성장 시나리오와 함께 목표 달성을 위해 일본이 매년 설비 투자를 4%씩 확대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이 시나리오가 실현될 경우 일본의 명목 GDP는 연평균 3.1%씩 성장해 2040년에는 현재보다 60% 증가한 975조 엔(약 9760조 원)에 도달할 전망이다. 일본의
  • 프란치스코 교황, 부활절 미사 깜짝 등장…"가자 즉시 휴전 촉구"
    프란치스코 교황, 부활절 미사 깜짝 등장…"가자 즉시 휴전 촉구"
    경제·마켓 2025.04.20 21:21:28
    프란치스코 교황이 가톨릭 최대 축일인 부활절 미사에 깜짝 등장해 가자지구의 즉각적인 휴전을 거듭 촉구했다. 20일(현지 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교황은 이날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부활절 야외 미사 후반부에 성 베드로 대성전 2층 중앙 '강복의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냈다. 교황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업무량을 줄여 왔지만 이날은 '우르비 에트 오르비(Urbi et Orbi·도시와 전 세계에 라는 뜻의 라틴어)' 행사에 나서 전 세계에 축복과 메시지를 전한 것이다. 교황은 안젤로
  • 美증시 덮친 관세…월가 “亞 필수소비재로 갈아타라”
    美증시 덮친 관세…월가 “亞 필수소비재로 갈아타라”
    경제·마켓 2025.04.20 21:05:2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행보가 연일 이어지자 월가 은행들이 미국 증시 전망치를 줄줄이 낮추고 나섰다. 주요 투자은행(IB)들은 글로벌 경제 불안에 방어적 성격을 갖는 아시아 국가의 필수소비재에 관심을 두라고 조언했다. 19일(현지 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한 2일 이후 JP모건·뱅크오브아메리카·에버코어ISI 등 IB 10곳 이상이 연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의 전망치를 내려잡았다고 보도했다. 실제 이달 3~17일 S&P
  • 태국 '미얀마 지진' 붕괴 고층 건물 시공사 中임원 체포
    태국 '미얀마 지진' 붕괴 고층 건물 시공사 中임원 체포
    경제·마켓 2025.04.20 20:12:48
    지난달 28일 미얀마 강진 영향으로 무너진 태국 방콕의 고층 빌딩 시공사 중국인 임원이 체포됐다. 20일 AFP통신과 방콕포스트 등에 따르면 태국 법무부 산하 특별수사국(DSI)은 미얀마 강진 발생 당시 붕괴한 방콕 짜뚜짝 시장 인근 감사원 신청사 시공사의 중국인 임원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타위 섯성 법무부 장관은 법원이 시공사 '중철10국' 측 중국인 임원 1명과 태국인 임원 3명에 대해 외국기업법 위반 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고 전했다. 당국은 중국인 임원 외 태국인 3명의 행방을 추적 중이다. 중국 국영기업
  • 트럼프 관세 폭탄에 中 수출 공장 강제휴업 속출
    트럼프 관세 폭탄에 中 수출 공장 강제휴업 속출
    경제·마켓 2025.04.20 17:57:15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이 본격화하면서 사실상 양국 교역은 중단된 상태다. 세계 최대 제조업 밀집지이자 세계 최대 도매시장인 중국 저장성 이우에서는 미중 관세전쟁 후 미국 바이어가 사라졌으며 주요 수출 품목인 의류 등의 주문은 전면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우한국인상회를 이끌고 있는 이상조 회장은 20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미국발 관세 때문에 한국 상인들의 수출길이 완전히 막혔다”며 “상인들 사이에서는 ‘이러다 다 죽는다’는 위기감이 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우 시장에는 약 7만 5000개의 점포에 20만 명의 종사가가 상주하
  • “가격 뛸라”…美, 자동차까지 사재기
    “가격 뛸라”…美, 자동차까지 사재기
    경제·마켓 2025.04.20 17:55:17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미국 소매시장에서는 이른바 ‘관세 사재기’ 조짐이 확연하다. 관세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이는 품목 중 유통기한이 긴 제품군을 중심으로 미리 쟁여놓는 움직임이 미 전역에서 포착되고 있다. 특히 25%의 관세가 발효된 자동차의 경우 차 값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에 구매하는 ‘막차 수요’도 몰리고 있다. 19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내 북쪽 조지아애비뉴에 자리한 월마트에서 만난 롭 마빈 씨는 “관세정책으로 프랑스산 술을 쟁여두고 있다”고 귀띔했다. 쇼핑카트에 휴지·음료수·식
  • 교토 '마치야' 30% 중국인 손에 있다고?…日전통가옥 사들이는 中자본[글로벌 왓]
    교토 '마치야' 30% 중국인 손에 있다고?…日전통가옥 사들이는 中자본[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4.20 15:50:38
    중국인들이 일본의 전통 가옥인 '마치야'를 잇따라 매입하며 새로운 주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인구 감소로 후계자가 사라져가는 가운데 높은 세금과 유지비 부담으로 방치되는 전통 가옥이 늘어난 탓이다.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조사에 따르면 교토시에 등록된 약 2900개 숙박시설 중 800개 이상(약 30%)이 500여 명의 외국인 손에 넘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중국인으로 마치야를 개조한 민박 시설을 운영 중이다. 마치야란 마을, 도시 거리를 의미하는 '마치(町)'와 집을 의미하는
  • 관세협상 앞둔 EU·日, 빅테크 제재 늦추고 車검사 간소화
    관세협상 앞둔 EU·日, 빅테크 제재 늦추고 車검사 간소화
    경제·마켓 2025.04.20 15:30:52
    미국과 본격적인 관세 협상 테이블에 앉은 유럽연합(EU)과 일본이 교섭 카드 확보에 나섰다. 20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EU가 대미 관세 협상 개시 직전 애플과 메타의 디지털 규제 위반에 따른 제재 발표를 연기했다고 보도했다.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당초 15일 애플과 메타를 상대로 진행한 디지털시장법(DMA) 조사 결과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었다. 최대 영업정지 명령과 과징금 부과 등이 점쳐진다. 그러나 전날 미국과의 관세 협상 일정이 갑작스레 잡히면서 집행위는 DMA 조사 발표 일정을 연기했다. 본격적인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