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봐도봐도 모르겠네"…이통 3사, 휴대폰 요금제만 718개
    "봐도봐도 모르겠네"…이통 3사, 휴대폰 요금제만 718개
    IT 2025.10.19 14:51:23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운영 중인 요금제가 718개에 달해 소비자 혼란을 크게 높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알뜰폰 업체까지 합치면 요금제가 무려 수천 개에 달하는 상황인데, 통합요금제를 통해 소비자 권익을 증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통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운영 중인 모바일 요금제는 251개에 달한다. SK텔레콤이 81개(5G 요금제 53개, LTE 요금제 28개), KT가 81
  • "또 당첨될 줄은"…챗GPT가 찍은 번호로 10만달러 파워볼 잭팟 터졌다
    "또 당첨될 줄은"…챗GPT가 찍은 번호로 10만달러 파워볼 잭팟 터졌다
    IT 2025.10.19 11:52:45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면서 오픈AI의 챗GPT 등 AI의 도움을 받아 투자에 성공하거나 거액의 복권(로또)에 당첨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최근 CBS 뉴스에 따르면 미국 미시간주 와이언도트에 사는 태미 카비는 지난달 6일 진행된 파워볼 복권 추첨에서 번호 5개 중 4개와 파워볼 번호를 맞춰 10만 달러(약 1억 4000만 원)에 달하는 당첨금을 수령했다. 카비는 파워볼 최고 당첨금(잭팟)이 10만 달러를 넘어서자 복권 구매를 결정한 뒤, 챗GPT에 번호를 물어 그 번호로 온라인 티켓을 구매했다. 그는 “당첨 번호를 확인했을 때
  • 화이자·GSK 이어 다케다·노보노도 세포치료제 개발 중단
    화이자·GSK 이어 다케다·노보노도 세포치료제 개발 중단
    IT 2025.10.19 11:09:00
    노보노디스크가 세포치료제 관련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전면 중단하고 해당 부문 직원 약 250명을 해고하기로 결정했다. 다케다제약도 세포치료제 개발을 접는 등 글로벌 빅파마들의 관련 프로젝트 중단 사례가 늘고 있다. 19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노보노디스크는 이달 전임상단계의 제1형 당뇨병(T1D) 타깃을 포함해 초기 임상 단계의 파킨슨병·만성심부전 세포치료 연구에 대한 투자 축소를 결정했다. 해당 부문 직원 약 250명도 해고할 계획으로 세포치료제 대신 심혈관·대사질환(CMD) 분야의 신약 개
  • 'APEC 모빌리티 파트너' 카카오모빌리티…경주 교통 혼잡 막는다
    'APEC 모빌리티 파트너' 카카오모빌리티…경주 교통 혼잡 막는다
    IT 2025.10.19 10:36:44
    카카오모빌리티가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무료 교통 수단과 혼잡 방지 서비스를 지원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5일 2025년 APEC 정상회의 공식 협찬사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이에 따라 행사 기간 동안 교통서비스를 지원한다고 19일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6일부터 다음달 1일가지 경주시 보문단지 일대에 44인승 순환 셔틀버스 12대를 투입한다. 셔틀버스는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30분 간격으로 운영된다. 제2동궁원편과 엑스포공원동편
  • 이번엔 믿을 수 있을까…KT “소액결제 전수조사 완료”
    이번엔 믿을 수 있을까…KT “소액결제 전수조사 완료”
    IT 2025.10.19 10:04:00
    KT(030200) 가입자를 상대로 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규모가 커졌다. 범행에 쓰인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이 추가로 대거 발견됐기 때문이다. KT는 이 같은 조사결과를 알리며 “전수조사를 완료했다”고 강조했지만 이번 사태와 관련해 반복되는 입장 번복으로 향후 추가 피해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반응이 나온다. KT는 17일 “불법 펨토셀 아이디(ID)는 기존 4개에서 16개가 추가로 발견돼 총 20개로 확인됐다”며 해당 펨토셀 ID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고객은 추가로 2197명이 파악돼 총 2만 2227명으로 집계
  • LG유플러스, AI로 로밍 가입절차 확 줄였다
    LG유플러스, AI로 로밍 가입절차 확 줄였다
    IT 2025.10.19 09:30:58
    LG유플러스가 로밍 상품 가입을 안내하는 챗봇에 대규모언어모델(LLM)을 도입해 가입 절차를 크게 간소화했다고 19일 밝혔다. 구체적으로로 로밍 가입 절차가 기존 10단계에서 4단계로 60% 줄었다. 기존 로밍 챗봇은 미리 마련된 질문 유형 버튼을 눌러 가며 로밍 상품에 가입하거나 요금제 등 궁금한 내용을 해결하는 방식이었다. 원하는 답변을 얻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고객의 다양한 수요를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LLM 기반 챗봇은 챗GPT처럼 ‘10월 26일부터 30일까지 다낭 갈 건데 로밍 어떻게 해?’와 같은 질문을 입력
  • SKT 본사 찾은 유엔…책임 있는 AI 논의
    SKT 본사 찾은 유엔…책임 있는 AI 논의
    IT 2025.10.19 09:18:31
    SK텔레콤이 유엔(UN)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측을 만나 인공지능(AI) 거버넌스(지배구조)와 책임 있는 AI를 확산하기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19일 밝혔다. 차호범 SK텔레콤 최고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는 최근 서울 중구 본사를 방문한 팀 엥겔하르트 OHCHR 인권담당관 등에게 자체 수립한 AI 거버넌스 기본 원칙 ‘티에이치디(T.H.E.) AI’와 최근 공식 개소한 ‘AI 거버넌스 포털’ 등 지속가능한 AI 생태계 조성을 선도하는 행보를 소개했다. OHCHR는 SK텔레콤이 자체 수립한 AI 거버넌스 원칙을
  • [영상] 피지컬 AI도 띄울까…네이버 CEO 직속 'R-TF' 정체는? [김성태의 딥테크 트렌드]
    [영상] 피지컬 AI도 띄울까…네이버 CEO 직속 'R-TF' 정체는? [김성태의 딥테크 트렌드]
    IT 2025.10.19 08:09:35
    네이버가 인공지능(AI)·디지털 트윈·스마트시티 등 미래 기술 사업화를 위해 최수연 대표 직속 조직을 신설했다. 조직명은 ‘R-TF’로, 혁명(Revolution)을 상징하는 ‘R’을 차용했다. R-TF는 글로벌 기업간거래(B2B)·기업과정부간거래(B2G) 사업 확장까지 추진하게 된다. 향후 피지컬 AI 등 선행 기술 사업화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차세대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창업자인 이해진 이사회 의장 복귀 이후 네이버의 글로벌 확장 전략이 가속화는 분위기다. 19일
  • "北·中 해커들, 진심 싹 다 털어가"…보고도 뻔히 속는 해킹의 세계
    "北·中 해커들, 진심 싹 다 털어가"…보고도 뻔히 속는 해킹의 세계
    IT 2025.10.19 08:00:00
    국제적으로 해킹 등 사이버 공격이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중국·북한 등 국가를 배후로 둔 조직이 타깃 국가의 IT 관련 시설을 주요 표적으로 삼고, 경제적 이득을 취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마이크로소프트(MS)가 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 사이 사이버 공격을 분석한 'MS 디지털 방어 보고서 2025'에 따르면 국가 배후 조직의 사이버 공격 중 52%는 경제적 이득을 취하기 위한 것으로 드러났다. 스파이 활동을 위한 공격은 4%에 불과했다. 에이미 호건-버니 MS 사이버보안 부문
  • '카카오톡 롤백' 논란에도…카카오 3분기 실적은 '맑음' [빛이 나는 비즈]
    '카카오톡 롤백' 논란에도…카카오 3분기 실적은 '맑음' [빛이 나는 비즈]
    IT 2025.10.19 08:00:00
    카카오(035720)가 올해 3분기 호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 달 15년 만의 대대적인 카카오톡 개편을 단행한 이후 ‘롤백(이전 버전으로 되돌리는 것) 불가’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음에도 불가하고 카카오가 실적 성장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카카오와 함께 국내 대표 정보기술(IT) 기업으로 꼽히는 네이버 또한 3분기 좋은 성적표를 받을 예정이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카카오, 2분기 깜짝 실적 이어 3분기 전망도 ‘맑음’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카카오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로 2조 243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
  • 우주를 덮친 보이지 않는 재앙…급증하는 ‘우주 쓰레기’의 경고등
    우주를 덮친 보이지 않는 재앙…급증하는 ‘우주 쓰레기’의 경고등
    IT 2025.10.18 20:30:00
    우주 매체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지구 궤도를 도는 위성 중 월 10회 이상 ‘충돌 회피 기동’을 해야 하는 위성의 비율은 0.2%에 불과했다. ‘충돌 회피 기동’이란 궤도상에서 다른 위성이나 우주 쓰레기와 충돌 위험이 감지될 때 궤도를 미세하게 변경해 사고를 피하는 조치를 말한다. 그러나 2025년 들어 이 비율은 1.4%로 무려 7배나 증가했다. 겉으로는 미미한 변화처럼 보이지만, 이는 수백 기의 위성이 끊임없이 우주 쓰레기나 다른 위성을 피하기 위해 궤도를 수정하고 위치를 조정하는 기동을 반복하고 있다는 뜻이다
  • '또 카카오냐' 숏폼 개편 논란 이어 송출 장애까지…"체류시간은 꾸준히 늘어 실적 개선 기대"
    '또 카카오냐' 숏폼 개편 논란 이어 송출 장애까지…"체류시간은 꾸준히 늘어 실적 개선 기대"
    IT 2025.10.18 16:18:26
    카카오가 최근 서비스 개편 과정에서 숏폼(짧은 영상) 콘텐츠를 과도하게 노출해 논란을 빚은 가운데 이번에는 해당 기능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카카오톡 숏폼 장애 보고서’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54분께부터 카카오톡 숏폼 송출 기능에 장애가 발생했다. 이에 대해 카카오 관계자는 “오늘 오후 3시 45분부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의 일시적인 오류로 일부 이용자들 사이에서 숏폼 재생이 원활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했다"
  • 삼성·LG가 AI 실시간 통번역 시장에 뛰어든 이유는
    삼성·LG가 AI 실시간 통번역 시장에 뛰어든 이유는
    IT 2025.10.18 12:00:00
    삼성SDS(삼성에스디에스(018260))와 LG CNS(LG씨엔에스(064400))가 나란히 'AI 기반 실시간 통번역(AI 통번역)' 시장에 뛰어들면서 관련 산업의 성장과 기술 고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양사는 AI 통번역 서비스가 세계 시장에서 기업과 개인 간 협업을 촉진하고 동시에 업무 효율과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근 서울경제신문과 만난 삼성SDS와 LG CNS의 AI 서비스 담당자들은 AI 통번역 서비스가 머지않아 전 세계 사람들의 언어 장벽을 허무는 전환점이 될
  • 유튜브 검색 전주 대비 750% '쑥' 캄보디아 구금 사태… 최상위 랭크 영상은
    유튜브 검색 전주 대비 750% '쑥' 캄보디아 구금 사태… 최상위 랭크 영상은
    IT 2025.10.18 09:11:12
    캄보디아 범죄단지 내 한국인 수십명 감금 사태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대중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18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지난 일주일 간 캄보디아 검색량은 전주 대비 750%나 급증했다. 검색어 '캄보디아'는 유튜브 급상승 검색 주제 5위를 기록했다. 지난 10일 25 밑에서 맴돌던 캄보디아에 대한 구글 트렌드 관심도는 14일 이후 줄곧 75를 상회하고 있다. 유튜브 조회수 순위 등을 제공하는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조회수 상위 100개 유튜브 영상 중 캄보디아 관련 영상만
  • DM받는 골든 타임은 언제?…3600개 계정이 찾은 ‘인스타 생체시계’
    DM받는 골든 타임은 언제?…3600개 계정이 찾은 ‘인스타 생체시계’
    IT 2025.10.18 08:00:00
    인스타그램의 이용이 가장 활발한 때는 화요일 오후 10시 전후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평일 중 일과 시작 시점과 일과 이후 시간대에 인스타그램의 이용이 활발했으며, 여름 휴가철 등 계절 요인도 소비자들의 인스타그램 이용 패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엔에이치엔 데이터(NHN DATA)가 발표한 2025년 4분기 ‘인스타그램 마케팅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요일을 막론하고 저녁 8시부터 10시 사이 인스타그램의 다이렉트메시지(DM) 발송이 가장 크게 늘어났다. DM 발송은 이용자들이 특정 게시물이나 계정에 대해 구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