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인간복제의 빛과 그림자

생명복제, 그 중에서도 인간복제는 오래전부터 SF영화의 단골 주제로 등장했다. 상당부분 인간복제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차용한 경우가 많고, 극단적인 관점을 지녀 인간복제 대한 공포와 우려를 증폭시키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훌륭한 묘사와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도 있다.

실제 블레이드 러너는 유명한 그리스의 비극 ‘오이디푸스’를 떠올리게 하며, 원수를 사랑하라는 성경 구절을 연상하게도 한다. 또한 이완 맥그리거와 스칼렛 요한슨이 주연한 아일랜드는 생명과학기술이 과연 가난한 사람들에게도 혜택을 줄 수 있을지, 아니면 불평등을 확대할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인간복제에 대한 우려와 공포

많은 사람들은 21세기가 생명과학기술의 시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됐고, 배아 줄기세포나 성체 줄기세포를 이용한 난치병 연구 역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여기에 복제양 돌리의 탄생 이후 각종 동물의 복제도 잇따르고 있다.

이 같은 생명과학기술의 발전은 영화에도 반영되고 있다. 생명과학기술 및 이와 연관된 미래의 사회상을 주제로 다룬 작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것.

소설 ‘프랑켄슈타인’에 등장하는 괴물 프랑켄슈타인은 비록 개념은 다르지만 인간복제 관련 영화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제는 생명과학기술의 마지막 금기로 여겨졌던 인간복제마저 시간문제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사실 생명복제, 그 중에서도 인간복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SF영화의 주제로 등장해 사람들의 관심으로 모아왔다.

지난날 첨단 과학기술들은 인류에 축복 못지않게 적지 않은 해악도 끼쳐왔다. 많은 사람들은 이의 연장선상에서 인간복제 역시 재앙을 불러올지 모른다고 우려하면서 상당한 공포감을 갖고 있다.

특정 종교단체 등이 이미 인간복제 실험에 착수해서 성공했다는 믿기 어려운 외신보도가 전해지기도 하지만 인간복제에 대한 대중들의 우려와 공포는 통속적 SF영화에 의해 지나치게 부풀려지기도 한다.

이들 SF영화중에는 생명과학기술, 즉 인간복제에 대해 대단히 잘못된 지식을 차용한 것이 많다. 또한 극단적인 관점을 지닌 SF영화도 많아 인간복제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

예를 들면 히틀러의 복제, 장기이식용 복제인간의 양성 등 매우 부정적이고 극단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최근의 SF영화들은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볼 때 오류가 많고, 대중들의 그릇된 이해와 선입견을 유발한다.

프랑켄슈타인과 멋진 신세계

하지만 오래전부터 SF소설이나 영화의 단골 주제이기도 했던 인간복제의 경우 훌륭한 묘사와 더불어 심오하고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들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주의를 바탕으로 감상할 필요가 있다.

영국의 여류작가 메리 셜리(Mary Shelley)가 1818년에 발표한 괴기소설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은 SF소설의 원조로 꼽히는 유명한 작품.

하지만 이 작품은 생명과학기술의 부정적 측면들이 거론될 때마다 단골로 거론되는 주제이기도 하다. 즉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유전자조작식품(GMO)을 속칭 ‘프랑켄슈타인 식품’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사람에 의해 탄생했지만 통제하기 어려운 무서운 괴물을 프랑켄슈타인이라고 통칭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 소설은 지난 1931년 미국에서 처음 영화화된 이후 여러 차례 영화나 TV드라마 등으로 후속편이 나왔다. 무생물에 생명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던 과학자 프랑켄슈타인이 죽은 자의 뼈와 시체로 거대한 생명체를 만들어내지만 이 괴물이 인간 이상의 큰 힘을 발휘하면서 난동을 일으킨다는 내용이 줄거리다.

여기에 등장하는 괴물은 비록 오늘날과 같은 개념의 복제인간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하면서 이후의 인간복제 관련 소설과 영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괴물이 자신의 끔찍한 모습을 혐오하면서 자신을 탄생시킨 과학자(창조주)를 저주한다든가, 자신에 맞는 배필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하면서 과학자의 신부를 살해하는 장면 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올더스 헉슬리(Aldous Leonard Huxley)의 1932년 작품인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는 문명과 과학을 신랄하게 풍자한 디스토피아 소설로 유명하다.
이 작품 역시 정확히 인간복제에 대한 소설은 아니지만 인간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태어날 때부터 등급이 매겨지는 모습 등은 생명과학기술이 더욱 발전할 미래사회에 대해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쥐라기 공원과 생명복제

마이클 크라이튼(Michael Crichten)의 ‘쥐라기공원(Jurassic Park)’은 지난 1990년대 소설과 영화로 나와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호박(琥珀; amber) 속에 든 모기의 화석으로부터 중생대 공룡의 DNA를 추출해 복제한다는 착상은 기발함의 대명사로 꼽힌다.

이 작품은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공룡 붐을 몰고 온 것에 그치지 않고 고생물학, 지구과학, 생명과학 등의 연구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실제 이와 비슷한 방법을 통해 과학적인 성과를 거둔 사례도 잇따랐다.

물론 화석으로 보존돼 왔다고는 하지만 오염되거나 변형되지 않은 공룡의 싱싱한 DNA를 구한다든가, 설령 그것을 구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공룡을 복제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해서는 논란의 소지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과학지식 전반에 걸쳐 조예가 깊은 작가답게 과학기술적인 묘사가 무척 세밀하고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카오스 이론 등을 원용하면서 완벽하다고 생각했던 시스템에도 예기치 못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언급하는 등 첨단과학기술의 미래에 대해 귀를 기울일만한 경고와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블레이드 러너

고전 SF영화의 걸작으로 꼽히는 리들리 스콧 감독의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 1982)’ 또한 여러 가지로 생각해볼 만한 점들이 많다.

이 영화 역시 복제인간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 등장하는 복제인간은 최근의 생명공학기법인 체세포 복제 등을 통한 복제인간과는 좀 차이가 있다.
영화의 원작이 된 소설인 필립 K. 딕(Philip K. Dick)의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에서는 복제인간 혹은 인조인간을 안드로이드(android)라고 지칭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우수한 전자두뇌와 인공피부까지 갖춰 외관상 인간과 똑같아 보일 정도로 발달한 로봇을 의미한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면 안드로이드는 생물학적 복제인간이라기보다는 인간과 똑같은 모습을 한 로봇에 가까운 존재로 봐야할 것이다.

아무튼 이 영화에서 인간과 달리 매우 짧은 수명을 지닌 안드로이드들은 자신들을 탄생시킨 사람에게 좀 더 오래 살게 해달라고 간청한다. 반면 수명을 넘기거나 말썽을 일으키는 안드로이드를 찾아서 처단하는 임무를 지닌 일명 ‘블레이드 러너’라고 불리는 주인공은 이들과 쫓고 쫓기는 대결을 벌인다.

특히 이 영화는 뒷부분을 눈여겨 봐야한다. 시한부 인생인 안드로이드가 자신을 탄생시킨 아버지와도 같은 회사의 사장을 찾아가 죽인다. 또한 안드로이드는 자신을 죽이려던 요원, 즉 해리슨 포드가 분한 주인공과의 격투 끝에 도리어 그를 살려 준다는 대목도 나온다.

이는 유명한 그리스의 비극 ‘오이디푸스’를 떠올리게 하는가 하면, ‘원수를 사랑하라’는 성경 구절을 연상하게 만들기도 한다. 결국 안드로이드 역시 인간과 똑같은 관용을 지니고 있거나 인간으로부터 관용의 정신을 배웠다는 해석이 가능한 부분이다.

브라질에서 온 소년

아이라 레빈(Ira Levin)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브라질에서 온 소년(The boys from Brazil; 1978)’ 역시 복제인간을 다룬 상당수의 통속 SF영화처럼 극단적이고 끔찍한 상황을 묘사, 충격을 준다.

이 영화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의사로서 인간의 무성생식 이론을 터득한 나치 추종자가 제2, 제3의 히틀러를 탄생시키기 위해 히틀러를 복제한 수많은 소년들을 히틀러의 성장기와 비슷한 가정에 입양시킨다는 음모를 그리고 있다.

이 영화는 일반 대중들에게 인간복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공포를 심어주는데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이미 죽은 지 오래된 히틀러를 복제한다는 것도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지만 설령 히틀러의 복제에 성공한다고 해도 복제인간이 히틀러와 똑같은 인간이 될지는 극히 미지수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면 이 영화는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지나친 과장과 오류가 많다고 할 수 있다.

히틀러와 같은 위험인물을 복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역시 인간복제를 다룬 영화로는 마이클 키튼 주연의 ‘멀티플리시티(Multiplicity; 1996)’와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나오는 ‘6번째 날(The 6th Day; 2000)’ 등이 있다.

멀티플리시티에서는 주인공이 자신과 똑같은 모습을 한 복제인간들에게 직장과 가사 일을 맡기고 느긋하게 쉬려다가 도리어 복제인간들이 말썽을 일으키는 바람에 골머리를 앓는다는 이야기를 코믹하게 그리고 있다.

자신의 의사에 의해 인간을 복제한 이 영화와는 달리 6번째 날에서는 평범한 가장이 자신도 모르게 탄생한 복제인간 때문에 여러 음모와 사건에 휘말리게 되는데, 인간을 복제하는 과정이 다소 섬뜩하면서도 구체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하지만 현대 생명과학기술에 따른 생명복제 과정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으며, 특히 컴퓨터나 디스켓을 복사하는 것처럼 사람의 기억마저 그대로 복제한다는 내용은 무리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아일랜드

인간복제를 다룬 가장 최근의 영화로는 이완 맥그리거와 스칼렛 요한슨 주연의 ‘아일랜드(The Island; 2005)’를 들 수 있다. 비록 논문 조작으로 판명나기는 했지만 이른바 황우석 효과로 인해 해외보다는 국내에서 더 큰 인기를 끌었던 이 영화는 돈 많은 부자들에게 여벌의 장기를 공급할 복제인간들을 만들어 관리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하지만 이 영화 역시 화려한 액션 신에 비해 과학적인 성찰은 상당히 부족한 편이다. 이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복제인간에 대해 잘못된 선입감을 심어줄 수 있다.

붕어빵을 찍어내듯 처음부터 복제 대상인 모체와 똑같은 성인으로 태어난다는 점, 모체의 기억을 그대로 이어받는다는 부분 등은 과학기술적 오류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복제인간보다는 이들이 태어나기 전까지 몸담고 있는 인공자궁의 모습이 훨씬 그럴듯하게 묘사되고 있는데, 꼭 복제인간에만 이용되지 않더라도 인공자궁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주목할 만하다.

이와 함께 인간복제를 포함한 제반 생명과학기술이 과연 가난한 사람들에게도 혜택을 줄 수 있을지, 아니면 빈부 간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할 단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글_최성우 한국과학기술인연합 운영위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