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된 태아 줄기세포 이용… 인간뇌 1% 함유 성공, 100%까지 추진
미국에서 ‘인간의 뇌’를 가진 생쥐를 탄생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영국 데일리 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신문은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 `암·줄기세포 생물학 연구소 연구팀이 이미 인간의 세포가 뇌의 1%를 구성하고 있는 쥐를 만드는 데 성공했으며, 유산된 태아의 줄기세포를 이용해 100% 인간 세포로 구성된 뇌를 가진 쥐를 탄생시킬 계획을 갖고있다고 전했다.
어빙 와이스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등 인간 질병들에 대한 치료 개발에 줄기 세포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이해하는 데 이 연구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미국국립과학원(NAS)이 이달 내놓을 인간과 동물 유전 물질 혼합 연구에 관한 보고서를 기다리고 있다.
NAS는 지난해 여름 미 정부의 지원으로 인간 태아의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에 대한 규정을 정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이달 나올 보고서 초안에는 과학이 인간과 짐승의 구별을 어느 정도까지 흐려놓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지침이 담길 예정이다.
지난주 스탠퍼드대 윤리위원회는 연구팀의 프로젝트를 “(실험)쥐가 기억력 향상이나 문제 해결 등 인간과 비슷한 행위를 보일 경우 연구를 중단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고 승인했다.
위원장 헨리 그릴리 교수는 연구팀의 프로젝트가 “오싹한 일”로 보일 수 있으나 “쥐가 벌떡 일어나 `안녕, 나는 미키야라고 말하지는 않을 것이다. 인간의 뇌는 훨씬 더 정교하다”고 주장했다.
와이스먼 교수는 태어나기 전 이 `인간 쥐에 인간의 특성들이 발달할지 여부는 아직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이 쥐가 다른 쥐들과 다름 없이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실험을 면밀히 관찰하고 인간과 비슷한 뇌 행동을 조금이라도 보이면 이 쥐를 폐기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 연구에 반대하는 편에서는 쥐가 인간의 특성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인정하고 있으나 인간의 줄기세포를 다른 동물에 옮기는 것에 불편한 심기를 보이고 있다.
플로리다주 메이요 클리닉의 신경학 교수 윌리엄 체샤이어는 “인간과 동물 키메라를 생산하려는 연구 프로젝트는 깨지기 쉬운 생태계를 방해하거나 생명 존엄성을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된장이 고추장보다 ‘비만억제 효과’ 많다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 가운데 된장, 쌈장, 고추장 순으로 비만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 식품영양학과 박건영 교수팀은 143g짜리 실험용 쥐에게 30일간 고지방 음식을 먹인 결과 체중이 287.4g으로 늘었으나 고지방 음식에 된장을 10% 추가해 먹인 쥐는 246.9g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또 된장과 고추장을 섞은 쌈장을 10% 추가해 먹인 쥐는 258g, 고추장을 10% 추가한 경우는 263.1g으로 조사돼 일반 음식을 먹인 쥐 269.2g보다 무게가 적었다.
간 무게도 고지방을 먹인 쥐는 11g인 데 비해 된장을 추가해 먹인 쥐는 8.7g, 쌈장과 고추장을 추가한 쥐는 각각 9.4g과 9.6g으로 나타났다.
간의 콜레스테롤 함량도 고지방 음식만 먹은 쥐는 66.3㎎/㎗였으나 된장을 추가하면 48.4㎎으로 줄어들고, 쌈장과 고추장을 추가하면 50㎎과 54.2㎎으로 줄었다.
박교수는“된장의 주원료인 콩이 발효과정에서 펩타이드로 분해된 뒤 아미노산으로 쪼개지는데 이것이 항비만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김치의 경우 백김치가 일반 김치보다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학과 윤지영씨가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체중이 80g인 쥐에게 30일간 고지방 음식을 먹인 결과 체중이 342.2g까지 불었으나 백김치와 일반 배추김치를 5%씩 추가해 먹인 쥐는 각각 318.9g과 329.6g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윤씨는 “일반김치보다 백김치에 비만억제 효과가 있는 알리디설파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이 더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바이오 테크-생물무기 연구예산 과다배정 비판
노벨상 수상자들을 포함한 미 학계 지도급 인사들은 미 행정부가 주요질병 연구보다는 생물테러 위협과 관련된 소수의 병원균 연구에 지나치게 예산을 과다투입하고 있다는 내용의 의견을 당국에 전달했다고 영국 BBC방송이 최근 보도했다.
방송은 “두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과학자 750명의 연대 서명이 담긴 서한이 미 국립보건원(NIH) 엘리어스 제루니 원장에게 보내졌으며 과학잡지 ‘사이언스’에도 게재됐다”고 전했다.
학계는 서한에서 이같은 편향적 예산배정은 중요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에 대한 연구에서 이탈한 것으로 공공보건과 국민적 이익을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서명운동을 주도한 루트커스 대학의 리처드 에브라이트 교수는 “페스트와 탄저균 등 잠재적 생물테러 병원균에 대한 정부보조금이 크게 증가한 데 반해 대장균을 비롯해 주요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는 전형적 미생물과 병원균에 대한 보조금은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오히려 생물테러 병원균에 대한 연구인력과 연구기관의 증가가 계획적인 공격이나 우연한 유출의 위험을 높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서한에 따르면 NIH산하의 병원성 박테리아 연구기관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의 경우 2001-2004년간 받은 보조금은 앞서 4년간 받은 액수의 15배에 이른다. 반면 생물테러 방어와 무관한 병원체에 대한 보조금은 27%, 박테리아 모델에 대한 보조금은 41%나 줄었다.
이에대해 NIAid의 존 맥거원 국장은 “다른 박테리아 분야에 대한 자금지원에 변동이 있었지만 에브라이트 교수 지적한 생물학 방어와 무관한 병원체에 대한 연구비가 줄어든 것은 아니다”고 반박했다.
미국은 지난 2001년 가을 탄저균 공격이 발생한뒤 2001년 4천200만달러였던 생물테러 방어 예산이 2004년 15억달러로 증가했고 올해는 16억 달러로 계획되는 등 해마다 생물무기 관련 연구예산을 늘려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