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 속 전국 각지에서 기부받은 생수를 한 달 넘게 야외에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강릉의 한 야외 주차장에는 1팩(6병) 단위의 생수 수백 묶음이 줄지어 쌓여 있었다. 현장에는 80팩짜리 묶음 960여개, 60팩짜리 묶음 660여개가 성벽처럼 세워져 있었고 포장이 찢겨 나간 일부 생수는 직사광선을 그대로 맞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생수는 햇볕과 열기를 피해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현실은 정반대였다.
강원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강릉으로 전달된 기부 생수는 2ℓ와 0.5ℓ 제품을 합쳐 무려 1066만 3081병이다. 강릉시는 1차로 시민 1인당 2ℓ 6병을 지급했고 가뭄이 극심하던 9월 중순에는 아파트 거주자에게 1인당 2ℓ 6병 묶음 3세트, 비(非)아파트 거주 시민에게는 2세트씩 추가로 나눠줬다.
이후 사회복지시설, 병원, 대학생, 외국인 근로자, 소상공인 등에게도 순차적으로 배포가 이뤄졌다. 이렇게 나간 물량만 약 959만 3965병이지만 여전히 106만 9116병이 남아 주차장에 그대로 쌓여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강릉은 지난 8월 30일 가뭄으로 재난사태가 선포될 정도로 심각한 물 부족을 겪었다. 그러나 지난달 중순 집중호우로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회복되면서 9월 22일 재난사태가 해제됐다. 물 사정이 나아지자 기부받은 생수의 처리도 뒷전으로 밀려난 셈이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일부 주민들은 당시 기부받은 생수를 중고거래 사이트에 판매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럴 거면 왜 전국에서 물을 보내달라 했나"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hilinn@sedaily.com
                                                                hihilin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