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가 29일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중 1500억 달러는 조선업에 투입하기로 합의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미국 진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구체적으로 한국 기업이 조선업 협력을 주도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선박금융을 활용하도록 하면서 수주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경주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브리핑을 통해 “대미 금융투자 3500억 달러는 현금 투자 2000억 달러와 조선업 협력 1500억 달러로 구성됐다”고 밝혔다.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로 불리는 미국의 조선업 재건 프로젝트를 한국 기업의 주도로 추진하며 투자는 물론 보증도 포함하기로 협의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신규 선박 건조의 경우 장기 금융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선박금융을 포함해 외환 부담을 줄였다고 밝혔다. 조선사들이 상대적으로 장기간 대금을 나눠 지급할 수 있는 방안을 통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박 수주 가능성을 높였다는 것이다.
7월 말 한미 양국이 관세 협상을 큰 틀에서 합의할 당시에는 1500억 달러를 미국 조선업에 투자하기로 한 것 외에 구체적인 내용은 없었다. 이번 협상에서는 국내 기업의 자율성을 확보하면서 자금 조달의 부담을 완화하는 장치를 마련하면서 한층 더 진전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실장은 “마스가 프로젝트는 선박 선수금 환급보증(RG)이 많은 부분을 차지할 것 같고 일부 대출도 있고 투자도 있을 수 있는데 사업의 성격에 따라 국가가 발주하는 군용선인지, 상선인지 등 조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양국 조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이번 협상 결과에 대한 기대에 힘을 보탠다. 이날 열린 양국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조선업의 대가(master)가 됐다”며 “(한국 기업의) 여러분들이 들어와 미국에서 배를 함께 만들고 있다. 짧은 기간 안에 최고로 올라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미국 의회에서 최근 군함 건조를 동맹국에 맡길 수 있게 한 법안 개정 추진 움직임과 맞물려 한국 조선사들의 미 군함 건조 등 참여 기회가 많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eeyou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