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쿠팡 등 국내 e커머스 업체가 주문 다음 날 새벽까지 상품을 가져다주는 ‘새벽 배송’ 서비스를 전면 금지하자는 주장을 내놨다.
28일 정부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는 지난 22일 열린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오전 0시부터 5시까지 심야 배송을 금지하고, 오전 5시 출근과 오후 3시 출근 두 개조에 주간 배송만 맡기는 것을 골자로한 택배 기사 과로 개선 방안을 내놨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이 지난달 26일 심야·휴일 배송으로 인한 택배노동자 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를 출범했다. 여기에는 민주당과 국토교통부, 민노총, 쿠팡, 컬리, CJ대한통운 등 주요 택배사가 참여한다. 법적 강제력은 없지만 협의체에서 도출된 결과가 정부 정책과 법·제도 개선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여기서 나온 합의는 사실상 정책·업계 표준으로 여겨진다.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는 추가 논의를 거쳐 이르면 연말 합의안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민노총이 내놓은 개선안 대로 e커머스 업체 새벽 배송 서비스가 금지되면 당장 내년부터 소비자들은 늦은 밤 온라인 주문으로 다음 날 아침 새벽에 상품을 받아보는 혜택을 누릴 수 없다.
특히 수천억~수조원을 들여 콜드체인(저온 유통체계) 물류센터 등 배송 인프라를 구축한 쿠팡과 컬리 등 e커머스 업체들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쿠팡 와우 회원은 약 1500만명으로, 컬리 정기 이용자와 유료 멤버십 회원 수를 더하면 새벽배송 정기 이용자는 2000만명을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네이버, 쓱닷컴, 오아시스 등을 포함하면 이용자는 더 늘어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새벽배송에 대한 만족도는 91.8%로 집계됐다. 향후 계속 이용하겠다는 응답은 99%에 이르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jna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