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부동산 정상화 특별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조은희 의원이 “이재명 정부의 10.15 대책은 ‘시장 안정’이라는 명분과 달리, 청년층의 희망을 짓밟은 절망의 선언”이라고 비판했다.
조 의원은 27일 페이스북에 “지금 필요한 것은 땜질식 보완이 아니라 근본적인 새판 짜기”라며 이같이 밝혔다.
조 의원은 특히 “출산 장려와 신혼부부 내 집 마련에 기여했던 신생아특례대출 승인 건수도 6.27 대책 이후 80%나 감소했다”며 “자산가에게는 대로를 열고, 청년과 신혼부부에게는 벽을 세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서울 아파트 평균가격이 14억 원을 넘는 상황에서 정부의 정책대출은 9억 원 이하 주택에 최대 4억 원만 지원한다”며 “이른바 ‘고소득 흙수저’ 청년들은 정책대출에서도 제외되고, 은행 대출마저 막혀 부모의 도움 없이는 집을 살 수 없는 구조에 내몰렸다”고 꼬집었다.
조 의원은 또 “무주택자의 LTV(주택담보인정비율)를 70%에서 40%로 낮추고, 서울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으면서도, 강남의 49억 원 오피스텔은 자유롭게 거래된다"면서 “그러나 도봉구의 4억 원 아파트는 거래조차 막혔다”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오락가락 행정은 10.15 대책에 대한 불신만 키웠다"며 “대환대출 LTV를 9일 만에 번복하고 전세퇴거자금·비주택 LTV 규제도 수시로 바뀌었는데 정부 정책을 어떻게 믿냐”고 꼬집었다.
조 의원은 “결국 이번 대책은 집값은 잡지 못한 채 자산 격차만 키웠다”며 “현금 부자는 여유롭지만 청년층은 절망에 빠졌고, 가계부채는 줄지 않은 채 금융 불안만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청년과 신혼부부가 자력으로 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정책금융, 중저가 주택 공급 확대, 공정한 규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가 책상 위 통계가 아니라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면 이번 대책은 대한민국 주거정책의 가장 어두운 흑역사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igija94@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