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ATL이 매출과 수익성 모두에서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373220)·삼성SDI(006400)·SK온)를 압도하며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구조적 격차를 확실히 드러냈다.
27일 SNE리서치가 발간한 ‘중국 리딩(Leading) 제조사 경쟁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CATL 연간 매출은 3620억 위안(약 69조 원)으로 한국 3사 평균(약 16조 원)의 4배에 달했다. 영업이익 역시 507억 위안(약 10조 원)으로 적자를 본 한국 3사 평균(–1883억 원)을 크게 웃돌았다.
기술력 제고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와 인력 규모도 CATL이 훨씬 앞섰다. CATL의 R&D 인력은 2만 346명으로 국내 3사 평균인 3087명보다 7배 많았다. CATL은 전체 인력의 15% 이상을 연구개발에 배치하고 있으며 연 매출의 5~7%를 지속적으로 R&D에 재투자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한국과 중국 간 배터리 산업 구조의 차이로 이러한 격차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CATL을 포함한 중국 기업들은 정부의 산업 정책과 내수 기반을 바탕으로 대규모 설비투자와 완성차 업체(OEM)와의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왔다.
CATL은 배터리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계열화된 밸류체인을 완성해 원가와 리드타임(소요시간)을 최소화했다. 한국은 핵심소재 단계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고 OEM 중심의 외부 수요에 의존해 수익성과 투자 여력 모두 제약을 받고 있다.
SNE리서치는 “이는 기술 수준은 비슷하지만 속도·양적 확장성·비용 효율성에서 중국이 압도적인 결과를 보이는 이유”라며 “한국이 향후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핵심소재 내재화, 지역별 차별화, 정책 일관성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u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