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3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벌이는 ‘부산 담판’을 낙관하면서 대만 문제도 협상 안건으로 다루겠다고 밝혔다. 미국 측 협상단을 이끌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틀간 진행한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정상회담을 위한 성공적인 기본 합의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 시간)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 개최지인 말레이시아로 떠나는 전용기 안에서 취재진에 미중 무역 협상을 전망하며 “그들(중국)은 양보해야 하고 우리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관세를 인하하기 원하고 우리는 그들로부터 특정한 것들을 원한다”며 “논의할 것이 매우 많고 좋은 회담이 될 것 같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순방길에 오르기에 앞서 “대만 이슈도 논의 주제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는 “미국은 (대만 등) 무역 외 다른 의제를 논의할 의사가 없다”던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의 브리핑을 뒤집는 발언이다. 앞서 외신들은 시 주석이 이번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만의 독립을 반대한다’는 공식 선언을 하도록 요청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시 주석의 요청을 일정 부분 수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비쳐져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에 대해 “그들이 그렇게 하지 않기를 바란다”면서도 미국의 대만 정책 변경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지금은 그 얘기를 하고 싶지 않다”며 말을 돌렸다.
한편 미중 고위급 인사들이 25~26일 말레이시아에서 정상회담의 전초전 성격인 제5차 무역 협상을 가진 가운데 실질적인 합의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베선트 장관은 26일 2일 차 협상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양측이 농산물 구매, 틱톡, 펜타닐, 무역, 희토류 및 전반적인 양자 관계에 대해 논의했다”며 “건설적이고 광범위하며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으며 매우 긍정적인 틀 안에서 정상회담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진전을 이루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만나게 되면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년 만이다. 장소는 당초 알려진 경주가 아닌 부산으로 변경됐다. 미국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양자 회담을) 부산에서 주최한다”고 확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kh22@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