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무역 협상과 관련해 미국이 생각하는 적절한 조건을 한국이 준비한다는 전제로 곧 합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실상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이라는 압박성 발언으로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북한을 ‘핵보유국(뉴클리어파워)’으로 지칭하며 순방 기간에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백악관 공동 취재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 시간)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 개최지인 말레이시아로 떠나는 전용기 안에서 취재진과 만나 “(한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에 매우 가깝다”며 “그들이 준비가 된다면 나는 준비됐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조건들을 한국이 수용할 의사가 있는 대로 (타결) 하고 싶다”고 미국 행정부 고위 관계자가 전화 언론 브리핑에서 밝힌 직후 나온 발언이다. 한미 양국은 올 7월 말 큰 틀의 무역 합의를 맺고도 3500억 달러(약 500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현금 비중 등을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29일 경북 경주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와 관련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6일 방송에 출연해 “안보 분야에서는 대체로 문서 작업도 돼 있고, 관세 분야는 완결될지 잘 모르겠으나 노력 중”이라면서 “경제적 합리성과 국익을 중심으로 치열하게 협상하라는 대통령의 강한 훈령에 따라 마지막 조정을 위해 협상팀이 분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거론하며 “일종의 핵보유국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들은 핵무기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핵화를 논의 대상으로 삼고 싶지 않다는 김 위원장에게 사실상 유화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방한 기간 김 위원장과 비무장지대(DMZ)에서 만날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가 연락한다면 그렇게 하고 싶고 나는 열려 있다”며 “그도 내가 (한국에) 간다는 것을 아마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kh22@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