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특별시 국정감사에서 마을버스를 공영제로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에 균형이 맞지 않다며 거절했다.
이날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서울시보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전라남도 신안군 마을버스는 공영제를 도입한 뒤 인건비, 사적경비 지출 등이 사라지며 대당 운송원가가 45% 가량 낮아졌다”며 “서울시 마을버스도 공영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서울시내버스는 준공영제로 운영이 되는데 마을버스에 공영제를 도입한다는 것은 균형이 맞지 않는 일”이라고 거절했다.
마을버스 조합과 서울시는 이달 초 서울시의 재정 지원 확대와 업계의 서비스 개선 약속을 골자로 하는 ‘마을버스 운송 서비스 개선을 위한 합의문’을 체결했다. 이후 마을버스 조합은 “재정지원 기준액을 확정했을 뿐 환승 탈퇴를 철회한 것은 아니다”라며 환승 손실 보전이 수용되지 않을 경우 내년부터 환승제에서 탈퇴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용 의원이 마을버스 조합의 환승체계 탈퇴를 시도할 경우 시의 대처 방안을 묻는 질문에 오 시장은 “운송법 상 서울시와 협의 없이 탈퇴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면허취소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할 근거가 충분하다”며 “근로기준법을 고려해 협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을버스 기업 중 흑자를 보는 곳이 더 많은 상황이라 일률적으로 지원을 하는 시스템은 오히려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시스템을 들여다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