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 망막 아래에 전자칩을 이식해 실명 환자의 시력을 되살리는 임상시험이 성공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영국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5개국의 실명 환자 38명이 미국 바이오테크 기업 사이언스 코퍼레이션(Science Corp)이 개발한 '프리마' 임플란트 임상에 참여했다.
이들은 노년층에서 흔한 시력 질환인 '지리적 위축증(GA)'을 앓고 있었다. 의료진은 환자의 망막 아래에 지름 2mm, 머리카락 두께 수준의 초소형 광전 마이크로칩을 심었다. 칩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 신호를 받아 뇌로 전달하는 '전자 눈' 역할을 한다.
환자들은 또한 적외선 카메라가 탑재된 특수 안경을 착용했다. 이 안경이 주변 영상을 포착하면 영상이 적외선 신호로 변환돼 칩으로 전송되고 다시 휴대용 프로세서가 이를 정제해 뇌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즉, 뇌가 새로운 형태의 시각 패턴을 학습하도록 돕는 것이다.
수개월간의 훈련 끝에 참가자 32명 중 27명이 중심 시력을 이용해 글자를 읽는 데 성공했다.
영국 무어필즈 안과병원의 마히 무킷 박사는 "읽거나 얼굴을 구분하지 못하던 환자들이 어둠 속에서 벗어났다"며 "인공 시력 기술이 한 세대를 넘어설 만큼 진보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명 환자에게 '의미 있는 중심 시력'을 돌려준 첫 기술"이라며 "인류 시각 재활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상 참가자 중 70세의 실라 어빈은 "평생 책을 사랑했는데 시력을 잃은 뒤 세상이 닫힌 기분이었다"며 "어느 날 갑자기 글자의 윤곽이 보였고 단어를 읽어냈을 때는 가슴이 터질 듯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특수 안경을 착용한 채 머리를 고정해야 해서 야외에서는 사용이 어렵다"고 전했다.
현재 프리마 임플란트는 공식 승인을 받지 않아 임상시험 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 상용화 일정이나 비용 또한 미정이다. 무킷 박사는 "수년 내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를 통해 환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전문가들은 선천적 시각장애인의 경우 시신경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이 기술로는 도움을 받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영국 BBC는 "기술은 빛을 뇌로 전달하지만 신호를 해석할 신경이 없다면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hilin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