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결혼 비용이 부담돼 일본 현지에서 결혼 상대를 찾는 한국인 남성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일본 매체 TBS는 7일(현지시간) 일본의 국제결혼 전문 결혼상담소 ‘데이리에’의 홍대의 대표 발언을 인용, 한국인 남성들이 낸 신청서가 쇄도하고 있으며 그 수가 8000건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홍 대표는 일본에서 결혼 상대를 찾고 싶어하는 한국인 남성의 수가 증가한 데 대해 “한국인 남성은 (한국에서의) 결혼을 포기했지만, 일본 여성은 함께 노력한다는 자세가 있지 않냐”고 짚었다. 결혼 과정에서 남성의 금전적 부담이 큰 한국의 결혼 문화가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이날 방송에는 30대 한국인 남성 하모 씨가 출연했다. 한국에서 항공기 연구개발 직무를 맡고 있다는 하씨는 최근 일본인 여성과 맞선을 보기 위해 일본을 찾았고, 일본어도 열심히 배우고 있다.
하씨가 일본에서 맞선을 위해 지출한 비용은 100만엔(한화 약 940만원)을 웃돈다. 결혼상담소 입회비, 항공료, 자기관리 비용까지 모두 포함된 금액이다.
30대에 결혼해 한국에서 살 생각이었다는 하씨는 경제적 여건이 일본으로 발길을 돌린 가장 큰 원인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한국의 결혼 문화에서는 남성이 집을 마련하는 게 당연한데, 대출 없이 집을 사려면 40세가 되어야 가능하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일본인 여성이면 남성에 요구하는 금전적 부담이 그렇게 크지 않다고 생각해 일본에서 결혼 상대를 찾으려 한다”고 덧붙였다.
또 한국인 남성과 맞선을 본 일본인 여성은 매체에 “(한국인 남성을) 드라마에서 봤는데 스스로 해내겠다는 완벽한 이미지가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인과의 결혼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일본인 여성들이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사사노 미사에 이바라키대학 강사는 “어릴 때부터 한국 문화, 영화 등 콘텐츠를 접했기 때문에 한국이 반짝 반짝 빛나고, 멋있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TBS는 “한국과 일본은 문화 콘텐츠를 통해 관계가 깊어지고 있다”며 “앞으로 바다 건너에서 결혼 상대를 찾는 일은 더 늘어날지도 모른다”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