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가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지만, 주요 고객층인 저소득 소비자들의 매장 이탈이 가속화하면서 향후 성장 지속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6일(현지시간) 맥도날드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68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주당순이익(EPS)은 11% 오른 3.19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LSEG가 조사한 월가 전망치(매출 67억달러, EPS 3.15달러)를 모두 상회하는 실적이다. 체인 레스토랑의 핵심 성과지표인 동일점포 매출 증가율도 3.8%를 기록하며 거의 2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미국 내 동일점포 매출은 2.5% 증가해 두 분기 연속 하락세를 멈췄다.
CNN은 "패스트푸드 세트 가격이 10달러(한화 약 1만3800원)를 넘는 경우가 잦아지며, ‘맥도날드도 비싸다’는 인식이 퍼졌다"고 지적했다.
크리스 켐프친스키 맥도날드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공격적인 가격 전략과 효과적인 마케팅, 신제품 출시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켈프친스키 CEO는 동시에 심각한 우려사항도 털어놨다. 그는 "2분기 중 저소득층 고객의 매장 방문 횟수가 두 자릿수 감소했다"며 "반면 중산층 방문은 소폭 늘었고 고소득층 방문은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저소득 가구의 실질소득 감소와 부정적 소비심리가 주요 원인"이라며 "이들이 우리의 핵심 고객층인 만큼 이탈 방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저소득층은 아침식사를 거르거나 더 저렴한 메뉴를 선택하는 등 소비패턴 변화를 보이고 있다. 외식 대신 집에서 식사하는 빈도도 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저소득 소비자들의 패스트푸드 소비 감소는 미국 소득 하위계층의 경제적 부담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며 "패스트푸드 업계 전반이 이 같은 소비자 행동 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