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의 잇단 인사 문제를 두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도 "인사검증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성남 라인’에 인사권이 집중되면서, 검증 절차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된다는 분석이다.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4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몇 차례에 걸친 인사 실패로 이재명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다소 약화된 것도 부정할 수 없다"며 "인사는 가장 어려운 일이지만 그럴수록 더 국민 눈높이에 맞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가 있는 인사에 대해 과감한 결단과 사퇴가 요구된다"고 밝혀, 사실상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의 자진 사퇴를 요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 처장은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관련 발언으로 2차 가해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정 의원은 인사 시스템의 문제점도 꼬집었다. 그는 "일부 극소수 인사들이 투명하지 않고 비공개적으로 논의되는 것처럼 보이는 점, 그리고 특정 인물들의 이름이 반복적으로 거론되는 점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김현지 총무비서관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비서관은 이 대통령의 의중을 가장 잘 이해하는 인물로 평가받으며 대표적인 ‘성남 라인’으로 꼽힌다. 전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기 직전, 김 비서관이 대통령의 뜻을 전달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뒤 대통령실이 즉각 반박한 상황도 있었다.
민주당 내 다른 인사들도 유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박지원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제 정부 출범이 한 달 지났으니까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없었다고 탓할 필요가 없다"며 "검증이 잘못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비판했다.
이언주 최고위원 역시 23일 "이재명 정부가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해 국민 기대감에 못 미친 점에 대해 여당 지도부로서 송구하다"며 "앞으로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