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운아나텍(094170)이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와 타액(침)으로 암을 진단하는 기술 공동연구를 본격화한다.
동운아나텍은 18일(현지시각) UCLA와 암 조기 진단 ‘이펌(EFIRM)’ 플랫폼 공동 개발 및 ‘디썰라이프(D-SaLife)’ 글로벌 인허가 임상시험에 필요한 데이터 확보를 위한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올 3월 UCLA 기술개발그룹 및 치과대학과 체결했던 양해각서(MOU)를 기반으로 한 파트너십을 공식화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계약에 따라 양 기관은 데이빗 웡 UCLA 구강·두경부 종양연구센터장 겸 치과대학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전기장 유도 방출 및 측정 기술 이펌과 동운아나텍의 반도체 기술을 융합한 타액 진단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 해당 플랫폼은 폐암, 위암, 구강암 등 다양한 암은 물론 자가면역질환을 비침습적으로 조기 진단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세대 타액 기반 진단 기술이다. 동운아나텍은 연구 후원 계약으로 3년간 웡 교수 연구팀에 연간 약 80만 달러를 지원하고 연구 성과에 따라 추가로 2년 연장 지원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타액 기반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 디썰라이프의 글로벌 인허가 임상시험을 위한 데이터 확보에도 착수한다. 디썰라이프의 안전성·유효성을 현지에서 검증하는 한편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할 분석적 성능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동운아나텍은 UCLA 연구팀이 보관 중인 수만 개의 타액 샘플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인종·성별·연령 등 다양한 집단을 아우르는 임상시험용 데이터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미국, 유럽과 같은 다인종 국가에서는 임상 데이터의 다양성을 중시해 시험 대상자의 인종을 고려하도록 하는 임상 가이드라인이 마련돼 있다. 2009년 이후 FDA에서 승인된 제품 중 약 20%는 인종에 따라 효능이나 측정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는 조사도 있다. 동운아나텍은 그동안 축적한 데이터와 UCLA가 보유한 다인종 타액 검체를 모두 활용해 디썰라이프 임상 프로토콜 최적화하는 것을 시작으로 각종 암에 대한 타액 바이오마커 검출을 목표로 설계된 이펌 플랫폼의 임상적 검증에 집중하기로 했다.
웡 교수는 “이번 협력은 질병을 더 빠르고 간편하게, 전 세계 누구나 쉽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양측의 공동 비전을 반영한 것”이라며 “동운아나텍의 지원으로 이펌 기술의 잠재력을 실제 임상 현장에서 실현하는 데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김동철 동운아나텍 대표는 “UCLA와 이펌 플랫폼 공동 개발로 당뇨병을 넘어 다양한 암과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겠다”며 “특히 UCLA가 보유한 수만 개의 다인종 타액 샘플은 매우 희귀하고 중요한 자산인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해 디썰라이프 글로벌 인허가를 목표로 데이터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