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 스타트업이 배아의 유전체를 분석해 미래의 건강 위험을 예측하는 서비스가 '슈퍼베이비' 논란을 낳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7일 보도했다.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난임 스타트업 '오키드헬스'는 배아를 대상으로 향후 발병 소지가 있는 수천 가지 질병을 검사하는 배아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예비 부모는 자녀의 유전 정보를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이 알 수 있게 됐다.
현재는 시험관 시술(IVF)을 받는 여성과 커플들이 낭포성 섬유증이나 다운증후군 같은 단일 유전자 변이나 염색체 이상을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오키드헬스는 최초로 30억 염기쌍의 배아 전체 유전체를 시퀀싱(DNA의 염기 배열 분석)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배아에서 채취한 5개 세포만으로 전체 유전체를 분석하고 1200여개의 단일유전자 질환과 조현병·알츠하이머·비만 등 다유전성 질환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질병 가능성은 '다유전자 점수(polygenic risk score)'로 수치화되는데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비 부부는 아이를 선별해 낳을 수 있는 셈이다.
오키드헬스 창업자 누르 시디키는 "오키드는 질병을 피할 수 있는 유전적 축복을 받는 세대를 만들고 있다"고 소개하며 "섹스는 즐거움을 위한 것이고 아기를 위한 것은 배아 스크리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도 이 기술로 생성한 배아를 통해 4명의 아이를 낳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키드헬스는 유전자 스크리닝이 IVF 성공률을 높이고 부모들의 유전 질환에 대한 불안감을 줄임으로써 출산을 장려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일각에서는 인간의 우수한 유전형질만을 선별해 개량하는 '현대판 우생학'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재 이 스타트업의 검사 비용은 배아 하나당 2500달러, IVF 1회 평균 비용은 2만 달러(2800만원)에 달한다.
부유한 계층이 유전적으로 더 뛰어난 아이를 골라 태어나게 하는 세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스타트업은 단순히 아이를 갖는 것을 돕는 수준을 넘어 미래의 자녀를 선별하고 설계하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다고 WP는 지적했다.
소식통은 이 스타트업의 고객 중에는 일론 머스크와 사이에서 4명의 자녀를 낳은 전 뉴럴링크 임원 시본 질리스도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회사 관계자는 머스크와 질리스 커플을 포함해 일부 커플에 지능 관련 선별 서비스를 비공식적으로 제공했다고 말했다. 오키드헬스는 "지적 장애는 선별하지만 지능 예측은 제공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미국 임신협회는 오키드헬스와 같은 기업들이 제공하는 유전자 선별 기술에 대해 "이건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인간 배아의 미래를 실질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라는 꼬집었다.
앨리슨 브룩스 MIT 생명윤리학 교수도 "우리는 지금, 아이들이 선택받은 이유와 선택받지 못한 이유를 아는 사회로 가고 있다"며 오키드헬스의 서비스가 "건강을 위한 선택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전했다.
또 이 스타트업의 주장이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스베틀라나 야첸코 스탠퍼드대 교수는 "5개 세포로 전 유전체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오류가 발생한다"며 "특정 질병 유전자가 없다고 단언하는 건 사실상 러시안룰렛에 가까운 위험한 판단"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오키드헬스는 "기존 유전자 검사가 놓치는 수백 개의 단일유전자 질환을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것이 핵심이며, 다유전자 점수는 참고용 정보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