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권 광역급행철도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만큼 이제는 지역 정치권이 힘을 모아 지하철 5호선 김포 연장에 힘을 쏟아야 할 때입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지역구 국회의원들도 절차적으로 마무리가 된 건폐장 이전 및 인천시와의 노선 문제를 들어 민민갈등을 유발하기 보다 김포시민의 교통 편의와 안전에 직결된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수 있도록 대통령실에 적극적으로 요청해 주길 기대합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최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5호선 연장 사업의 필요성에는 공감을 하고 있으나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시각 차로 비용대비편익(B/C) 값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해 아쉬움이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사업은 서울 방화구에서 인천서구 검단을 거쳐 김포시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지난해 서울 5호선 김포 연장을 본사업으로 확정한 데 이어 기획재정부 신속 예타 대상으로 신청해 KDI가 이를 조사하고 있다. 신속 예타는 9개월 이내에 조사를 완료해야 하는 만큼 김포시는 올 6월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BC값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시장은 “이 사업은 단순히 BC 값 보다 김포골드라인 혼잡률 개선의 시급성과 2029년 입주가 예정된 김포한강2콤팩트시티의 시티의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는 논리로 KDI를 설득하는 과정”이라며 “3개월 안팎이면 결정이 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김 시장은 윤석열 대통령 때 신속 예타 사업으로 지정돼 윤 정부의 사업으로 인식되는 것에 대해서도 경계했다.
그는 “정당을 떠나 시민들의 간절한 염원이 담겨 있는 지하철 5호선 연장을 성공시키기 위해 건폐장 이전 합의를 이끌어 냈고 정부 부처를 찾아가 설명회를 연 끝에 결국 대통령실 테이블까지 올려 신속 예타라는 성과를 거둬냈다”며 “남은 과제는 기술적 문제가 아닌 정무라인의 판단 문제만 남았다. 지역구 국회의원 모두 여당 소속인 만큼 대통령실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윤 정부의 사업이 아닌 시민의 안전을 지켜내는 데 뜻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 시장은 서울 2호선 신정지선 김포 연장도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에 반영될 수 있도록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서울시와 김포, 대광위 등 관련 기관 모두 긍정적인 입장이서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현재 김포시는 서울 양천구와 최적 노선 마련을 위해 공동용역을 추진해 최적안을 도출하고 경기도에 제출한 상태다.
김 시장은 “민선 8기 취임 이후 가장 집중한 정책은 단연 교통 문제였고, 그 결과 김포는 단일노선이 아닌 다중접속 철도망 도시로 한발짝 다가갔다”며 “향후 계획된 철도망 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역 정치권과 함께 총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