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길이의 비율을 통해 남성의 성욕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내용의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최근 일본 오키야마대 연구팀은 ‘실험동물(Experimental Animals)’ 학술지를 통해 수컷 쥐의 발가락 길이를 통해 성행동과 성적 취향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검지(2D)와 약지(4D) 비율은 태아가 자궁 속에서 어떤 성 호르몬에 노출됐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에 따르면 태아가 자궁 내에서 안드로겐(남성 호르몬)에 더 많이 노출되면 검지보다 약지가 더 길었고, 에스트로겐(여성 호르몬)에 더 노출되면 약지보다 검지가 길었다. 평균적으로 남성은 약지가 더 길고, 여성은 비슷하거나 검지가 약간 더 긴 편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교미 실험을 진행한 결과, 약지가 더 긴 쥐는 성적으로 활발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첫 번째 성적 접촉에서 사정한 수컷 쥐들이 그렇지 않은 쥐들보다 더 긴 약지를 가지고 있었다. 또 수컷 쥐들에게 수컷 냄새가 밴 침구와 암컷 냄새가 밴 침구 중 선택하게 하는 실험을 진행해보니, 긴 약지를 가진 쥐들만 암컷 침구에 지속적으로 흥미를 보였다.
연구를 진행한 시카모토 교수는 “검지와 약지의 비율이 쥐의 성적 활동을 예측하는 신뢰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단순히 쥐의 성적 행동을 넘어, 태아기 호르몬 노출이 뇌에 영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손가락 길이 비율이 뇌 구조의 생물학적 지표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궁 속 태아에게 노출되는 호르몬이 성적 취향이나 성욕, 정서적 애착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카모토 교수는 “이 비율은 인지 특성이나 정신 건강 상태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자폐증, 우울증, 애착 장애 같은 성별 차이를 보이는 질환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해당 연구는 수컷 쥐만을 대상으로 진행돼 인간에게 적용될 수 있을지 여부는 불확실하다는 한계가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