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용시장이 탄탄하다는 경제 지표에 뉴욕 증시가 상승 했다. 탄탄한 고용 데이터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는 멀어지게 됐지만 투자자들은 적어도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저성장 속 고물가)으로 가지는 않고 있다고 안도했다. 이 여파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3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344.11포인트(+0.77%) 오른 4만4828.5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51.93포인트(+0.83%) 오른 6279.3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207.97포인트(+1.02%) 상승한 2만601.10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 노동부는 이날 6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4만7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1만명)를 크게 웃돈 수치다. 미국 고용 보고서의 일자리 증가는 4개월 연속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 실업률은 5월 4.2%에서 6월 4.1%로 하락했다.
탄탄한 고용에 연준이 7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는 식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에서 7월 금리 인하 확률은 전날 76.2%에서 이날 고용지표 발표 후 장 마감 무렵 95.3%로 치솟았다. 반면 인하 확률은 같은 기간 23.8%에서 4.7%로 내려갔다.
금리 인하가 미뤄졌다는 전망에 국채 금리도 상승했다. 연준의 금리 변동 전망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2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증시 마감 무렵 9.5bp(1bp=0.01%포인트) 급등하면서 3.892%에 거래됐다. 국채 금리 상승은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10년 물 수익률도 6.5bp 오른 4.349%에 거래되고 있다.
달러화 가치는 올랐다. ICE선물거래소에서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 인덱스는 증시 개장 시점 97.13으로 전장 대비 0.37% 상승했다. 달러 가치에 반비례하는 금 값은 하락했다. 이날 금 선물 계약은 전장대비 0.47% 떨어진 온스당 3344.0 달러에 거래됐다.
이날 뉴욕 증권시장은 미국 독립기념일 공휴일인 7월 4일을 앞두고 평소보다 3시간 이른 오후 1시(현지 시각)에 마감했다. 4일 뉴욕증시는 휴장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