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본부의 부산 이전이 가시화되면서 부산 지역 내 임시청사 유치를 둘러싼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세종시에서는 이전 반대 여론이 확산되고 있지만 부산은 “기회를 놓칠 수 없다”며 속도전에 돌입했다.
2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전날 ‘해수부 이전 지원팀’을 신설하고 16개 구·군을 대상으로 임시청사 후보지 조사를 시작했다. 해수부가 북항 재개발 지역에 본청사를 짓기까지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600여 명의 직원이 머물 임시 사무공간 확보가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시는 임시청사 입지 조건으로 부산역 인접성, 보안성, 업무 효율성 등을 우선 고려하고 있다. 앞서 시는 동구 북항 재개발 사업지를 신청사 후보지 1순위로 밝힌 바 있다. 시는 해수부 유치를 통해 북항 재개발을 축으로 해양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가덕도신공항과 연계한 ‘해양수도’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발맞춰 동구·중구·강서구 등 기초지자체들도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동구는 시의 해수부 이전 전담팀과의 핫라인을 설치하고 전폭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민간·공공 건물의 공실 현황 파악에도 나섰다. 중구는 “해양·해운 관련 기관이 밀집한 중앙동 일대가 업무 연계 측면에서 강점”이라며 전담 TF 운영을 예고했다. 강서구는 ‘정주 여건’을 내세운다. 강서구 학부모회는 최근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덕도 신공항, 부산항 신항, 녹산산단 등 배후 인프라와 함께 국제학교 유치 계획 등을 강조하며 “공무원 가족 정착에도 강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충청권에서는 반발 기류가 확산 중이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이날 해수부 청사 앞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란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벌이며 유감을 표했다. 최 시장을 비롯한 충청권 광역단체장 4명도 해수부 부산 이전 방침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해수부 노조도 “이전이 생존권 문제와 직결된다”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노조 설문조사에선 86%가 이전에 반대했다.
이번 이전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당선 직후 첫 국무회의에서 조속 추진이 지시되면서 급물살을 타고 있다. 정책의 정당성과 지역 안배를 둘러싼 논란 속에서, 부산은 실익 확보에 주력하며 움직임을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