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연속 출산율이 하락하고 있는 일본에서 기업들이 직원의 임신·출산·입양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편의점 체인 패밀리마트, 글로벌 투자개발 업체 이토추상사는 직원의 난자 동결 비용을 일부 지원하고 있다. 후지필름은 불임 치료 등을 이유로 최대 1년간 휴직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했다.
화장품 업체 폴라의 지주회사인 폴라 오르비스 홀딩스는 직원들이 온라인으로 전문 의료진과 임신 관련 상담을 받을 수 있는 복지를 제공 중이다. 완구 업체 다카라토미는 출산하거나 자녀를 입양할 경우 200만엔(한화 약 192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일본 기업들이 임신 및 출산 지원에 적극 나서는 이유에 대해 요미우리는 ‘불임 치료를 계기로 회사를 그만두는 사례가 늘어나는 현실’을 지목했다. 2023년 일본 후생노동성의 조사에 따르면 불임 치료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10.9%가 ‘치료와 업무를 병행하기 어려워 퇴직했다’고 답했다. 또한 일본 정부가 2030년까지 주요 상장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을 30% 이상으로 끌어 올리려 한다는 점도 기업들의 제도 도입을 촉진하는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불임 치료의 대상이 주로 30~40대 여성인 만큼, 경력 개발과 치료 시기가 겹처 경력 단절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 기준 일본 주요 상장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은 15.6%에 그쳤다.
한편 후생노동성이 지난 2월 발표한 인구 동태 통계(속보치)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을 포함한 일본 내 출생아 수는 전년 대비 5.0% 준 72만 98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있는 1899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