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자신에게 집중된 공세에 정면 대응하고 나섰다. 2019년 경기도지사 시절 계곡 정비 사업에 반발하는 계곡 상인들을 설득하는 과정에서 ‘커피 원가가 120원 정도라더라’고 한 얘기를 두고 국민의힘이 ‘120원짜리 커피를 8000원에 바가지를 씌운다’면서 자영업자 비하 발언이라고 공격하자 “조작”이라고 맞받아친 것이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이른바 ‘호텔경제학’ 비판에 대해서도 “동네에 돈이 돌게 해야 동네 경제가 나아진다. 이걸 이해 못하는 정책 책임자들이 있다”고 되받아쳤다. 그간 지지율 우위를 바탕으로 상대의 공세에 대한 직접적인 맞대응을 삼갔지만, TV토론 이후부터는 정면 대응 방식으로 승부수를 던진 것이다.
이 후보는 20일 경기 의정부 유세에서 “경기 북부에 오니까 그 생각(계곡 정비 사업)이 좀 났다”고 운을 뗀 뒤 “여름에 아이들 데리고 놀러 가면 계곡에 들어가지도 못하게 하고, 닭죽 먹어야 들어갈 수 있다 그러고 자릿세를 받더라. 도지사 되니까 권한이 생겨서 ‘이걸 싹 정리해야 겠다’는 마음을 먹고 정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당시 백운계곡에서 일부 상인들이 자릿세를 받으면서 닭백숙 장사를 하던 불법 시설물을 법적 절차를 거쳐 강제 철거한 뒤,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마진이 많이 남는 커피 영업을 할 것을 제안했고 그것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 후보는 “땀 뻘뻘 흘리며 5·6만 원 바가지 씌우는데 손님도 없고 힘들지 않느냐며, 철거하고 깨끗하게 정리하고 많은 사람 오면 거기에 맞게 현대화해서 다른 영업하자고 했다”며 “(상인들은) 돈이 없으면 경기신용보증, 은행 지원받게 해서 휴게음식점 같은 걸로 바꿔 커피 원가 120원이라던데 그거 한 7000~8000원 받고 팔고 손님 많이 오면 그게 더 낫지 않냐 그렇게 바꾸라고 제가 얘기했다. 틀린 말 했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여당의 주요 인사가 ‘이재명이가 커피 120원짜리인데 8000원에 판다고 한다고 말하더라. 자영업자들을 폄훼한 거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런 것을 용인하면 되겠느냐”고 지적했다. 고양시 집중유세에서도 “대화와 타협을 하려면 중요한 게 상대방이 한 얘기를 조작⸳왜곡하면 안 된다”며 “‘네가 이렇게 말했지?’라고 조작해서 왜곡하면 그것은 대화하고 합의하자는 게 아니라 시비 거는 것이다. 지금 국민의힘이 딱 그러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후보는 “욕먹는 게 두려웠으면 했겠나. 정치를 왜 하나 더 많은 사람의 더 나은 세상을 위해 하는 것 아니냐”며 “지금부터 새롭게 출발해야한다. 이 나라 주인으로 국민으로 존중받을 수 있고, 다수 국민 위해 더 나은 세상 위해 제대로 된 민주공화국 만들어 보자”고 호소했다.
경기 파주 유세에선 “동네에 돈이 돌면 치킨 가게 주인의 매출이 늘지 않겠냐”면서 “치킨 가게 주인은 닭도 사고 양념도 사야 하는데 그러면 동네 경제가 좀 나아질 것 아니냐. 이런 것을 승수효과라 한다. 이걸 모르는 바보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의 경제 순환론 주장을 두고 집중 공격을 이어갔던 이준석 후보에 맞불을 놓은 것이다.
당도 이 후보 지원에 나섰다. 민주당 정책위의장인 진성준 선대위 정책본부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이 후보는 돈이 돌아야 경제와 민생이 살아난다는 지극히 당연한 이야기를 한 것”이라며 “소비가 얼어붙어서 민생이 파탄 지경이고 우리 경제가 뒷걸음치고 있는 이때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시중에 돈이 돌게 해야 한다는 것은 지극히 마땅한 주장이다. 그런데 무엇이 잘못이라는 것이냐”고 반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