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개월 연속 한국 경제의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며칠 전 정부의 대표 싱크탱크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년 3개월 만에 ‘경기 둔화’라는 표현을 꺼내 들었지만, 정부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 셈이다.
기획재정부는 16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5월호’에서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총평했다.
이에 앞서 KDI는 12일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경기 둔화를 시사하는 지표가 나타나고 있다”며 2023년 2월 이후 처음으로 경기 둔화를 직접 언급했다. 이어 14일에는 “우리 경제가 건설업 부진과 통상여건 악화로 0.8% 성장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2월 1.6%의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석 달 만에 반토막 냈다.
외부 기관들에 비해 정부의 경기 진단이 안이한 게 아니냐는 지적에는 “인식 자체가 다르지는 않다고 본다”고 반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