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영국·중국과 잇따라 관세율 조정에 나선 가운데 미국이 이들 국가와 합의한 관세율이 ‘트럼프 관세’의 기준이 될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12일(현지 시간) BBC에 따르면 조지 사라벨로스 도이체방크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영국·중국 간 합의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관세율에 상한선과 하한선이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앞서 8일 미국은 영국과 10%의 상호관세는 그대로 유지한 가운데 자동차의 경우 연간 10만 대에 한해 기존 27.5%에서 10%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영국은 지난해 미국과 무역에서 약 150억 달러 규모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는 등 미국의 주요 무역흑자국이다. 그럼에도 미국이 10%의 관세율을 유지한 것은 트럼프 행정부 관세율의 하한선이 될 수 있다는 해석이다. 이에 반해 무역 불균형이 가장 심한 중국이 적용받을 30% 관세율은 트럼프 관세율의 상한선이라는 의미로 읽힌다. 사라벨로스 이코노미스트는 “영국과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고려할 때 이 두 숫자가 올해 미국 관세가 어느 수준에 도달할지에 대한 경계로 보는 게 타당하다”고 진단했다.
다만 미국이 상대국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11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기본 관세는 10% 아래로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국가별로 특정 문제들을 해결할 것”이라고 말해 일부 무관세가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