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시범 시행을 앞둔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시범 사업이 유커(遊客)를 한국으로 다시 끌어모을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이 100만 명씩 늘어날 때마다 2조~3조 원의 관광 수입이 창출된다는 점에서 무비자 사업이 어려움을 겪는 한국 경제에 숨통을 틔울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3분기부터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해 한시적 무비자 입국 허용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방한 관광객 1850만 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이 중 중국인 관광객 536만 명을 끌어올 계획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023년에 발표한 보고서 ‘중국인 관광객 회복 지연 원인과 시사점’에 따르면 한한령에 따른 한국 단체관광 금지 조치 이전인 2014~2016년의 615만 명 선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증가할 경우 관광 수입은 약 90억 달러(약 12조 8700억 원)로 예측됐다. 2023년 관광 수입이 약 33억 달러로 집계된 것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수치다.
무비자 정책이 시행되면 중국인 관광 수요는 정부의 예상보다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그간 까다로운 비자 발급 정책이 한국 관광의 가장 큰 장애물로 꼽혔기 때문이다. 현재 관광 목적으로 중국인 개인이 한국 입국사증을 받기 위해서는 약 6일이 소요된다. 체류 기간이 3개월 이내일 경우 심사 수수료는 420위안(약 8만 2000원)이 든다. 여기에 단순 일반 관광 비자를 신청하려 해도 재직 증명서, 은행 거래 내역서, 개인 소득세 납부 증명 등 재정 능력 입증 서류를 제출해야 했다.
전문가들도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정책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를 예상한다. 김현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2월 중국에 대한 무사증을 도입한 싱가포르는 전년 대비 중국인 관광객이 124% 증가하며 전반적인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한국은행 역시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100만 명 늘어날 때마다 국내총생산(GDP)이 0.08%(2조 400억 원)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한 만큼 중국인 단체관광객 전체를 대상으로 한 무사증 조치를 통해서 경제적 효과를 배가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중국 단체관광 전담 여행사 사이에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달 신규 여행사 14곳을 지정해 총 182개의 전담 여행사가 운영 중이다. 한 전담 여행사 관계자는 “3분기 시행을 앞뒀다고 했는데 아직까지 정부로부터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공유되지 않고 있다”며 “여행사가 손해 볼 수밖에 없는 싼 가격에 관광객을 유치하는 ‘덤핑 관광’도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