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안이 여전하고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둔 가운데 뉴욕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관세 정책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유화 행보가 지속되고 기업들이 실적 발표에서 관세 불안을 잠재울 계획을 내놓을 지 기대하고 있다.
28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14.09포인트(+0.28%) 오른 4만227.5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3.54포인트(+0.06%) 상승한 5528.75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6.81포인트(-0.1%) 하락한 1만7366.13을 기록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미국이 현재 중국과의 협상은 잠시 제쳐두고 있으며 15개에서 17개국 사이의 다른 국가들과 무역 협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현황을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나는 (미국과) 첫 번째로 무역 합의를 하는 나라 중 하나가 인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관련해서는 “미국 정부는 전방위적으로 중국과 접촉하고 있다”면서도 “거듭 말하지만 중국이 갈등을 완화해야 한다고 본다”고 중국의 유화적 조치를 촉구했다.
월가는 증시가 큰 변동을 보이지 않는 데 대해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더 격화되지는 않을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바클레이즈 이코노미스트 조너선 밀러는 최근 보고서에서 “최근 미중 무역 갈등이 다소 완화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양측 모두 이달 초 시행된 지속 불가능한 관세율을 점진적으로 완화하고 있으며, 미국은 관세율 인상에 대한 의사를 시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현재로서는 대부분 논의에 불과하며, 무역 협상에서 미국 경기 침체를 피할 만큼의 구체적인 모멘텀이 나타날지는 여전히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