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 갈등을 해소할 의지가 있다고 전날 밝힌 영향으로 뉴욕 증시는 상승했다. 다만 백악관과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이 모두 미국 측의 일방적인 인하 제안은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 상승폭은 제한됐다. 실제 협상 개시와 타결까지 험난할 수 있다는 예고이기 때문이다.
23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419.59포인트(+1.07%) 상승한 3만9606.5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88.10포인트(+1.67%) 오른 5375.8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407.63포인트(+2.50%) 뛴 1만6708.05에 장을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 갈등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독립성과 관련해 전날부터 시장의 불안을 달래는 발언을 한 점이 상승 요인이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오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대중 협상에 대해 “잘하고 있다”며 145%에 달하는 대중 추가 관세에 대해 “그 정도로 높게 있지는 않을 것이며, 매우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최근 자신이 금리 인하 요구 불응 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할 수 있다고 시사하는 발언을 한 것과 관련, “나는 그를 해고할 생각은 전혀 없다”라면서 “나는 그가 금리 인하 아이디어에 좀 더 적극적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날 증시 상승 폭은 개장 당시 보다 줄어든 채 마감했다. 이는 스콧 베선트 재무 장관이 “중국에 일방적인 관세 인하 제안은 전혀 없었다”고 밝힌 데 따른 반응으로 풀이된다. 이는 협상 의지와 별개로 실제로 협상을 개시하기 위한 양보 의사는 여전히 없다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역시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에 대한 일방적 관세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