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오는 2033년까지 신안군 해역 일대에 국내 최대 해상풍력 10개 단지를 조성한다. 해당 해상풍력단지 규모는 원전 2기 이상 규모인 3.2GW(기가와트)에 달한다. 전라북도는 앞서 전북 부안군과 고창군 일대에 원전 1기 규모에 해당하는 1.4GW의 해상풍력 단지를 짓는다고 밝힌바 있는데, 이번 신안 해상풍력 단지는 이보다 1.8GW 이상 용량이 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전남 신안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지정·공고한다고 22일 밝혔다.
원전 2기 용량을 뛰어넘는 신안 해상풍력 집적단지는 지자체 주도로 입지를 발굴했다. 이후 지역 주민, 어업인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했다는 것이 산업부 측의 설명이다.
정부는 한국전력에 공동 접속 설비 구축을 요청할 수 있고, 발전단지 준공 이후에는 최대 0.1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해당 지자체에 부여할 수 있다.
공동 접속 설비는 여러 해상풍력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하나의 지점에서 모아 육지로 송전하는 설비다. 해당 설비를 활용할 경우 개별 발전소마다 별도 송전선을 설치하는 것 대비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전라남도는 2021년부터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해 기존 개별 사업자들이 진행하던 풍력단지에 대한 인허가 저촉 여부 등을 조사한 후 사업 구역을 재배치해 왔다. 또 주민·어민 대표가 포함된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라남도는 송전선로가 지나갈 것으로 예정되는 지역의 주민 대표를 민관협의회에 참여시키고 전력계통협의체, 주민설명회 등을 추진해 공동 접속 설비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 및 연관 기업 육성 등이 포함된 전략을 수립·이행해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활성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