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원도심 재정비에 팔을 걷어 붙였다. ‘미니뉴타운 시범사업’ 및 ‘부천형 역세권 정비사업’을 주축으로 새 정비사업 기법을 본격 추진해 새로운 정주환경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연내 사업 공모 접수 및 대상지 선정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17일 관련 지자체에 따르면서 부천시는 원도심 활성화를 ‘미니뉴타운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해당 사업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낙후 원도심을 광역 단위로 개발해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도시 정비 모델이다. 선정지에는 용도지역을 최대 준주거(400%)까지 상향하고 법적 상한의 1.2배까지 용적률을 완화하는 등 혜택을 제공한다. 대상지는 노후 주택이 밀집해 정비가 필요한 곳 중 면적이 10만㎡ 이상, 노후 및 불량건축물이 50% 이상인 곳이다.
신청에는 토지 등 소유자 10%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부천 시는 5월 중 공모를 거쳐 7월까지 2개소를 선정할 계획이며, 올해 말까지 재정비촉진지구 지정·내년까지 재정비촉진계획 수립을 목표하고 있다.
부천형 역세권 정비사업은 ‘결합정비’ 방식으로 진행한다. 둘 이상의 구역을 하나의 정비구역으로 결합해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고밀개발로 역세권의 기능과 여건을 개선하고, 사업성이 낮아 정비사업이 어려웠던 원도심에는 기반 시설을 설치해 공원과 주차장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선정지에는 용도지역 최대 준주거(용적률 400%)까지 상향, 각종 규제 완화와 신속한 행정 처리 지원 등 혜택도 제공한다. 역세권의 경우 정비구역 총면적의 50% 이상이 철도 승강장에서 500m 거리 이내 주거지역이면서 노후·불량건축물이 60% 이상, 면적은 원도심 결합지역 면적까지 포함해 2만m2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다. 원도심은 신청 면적 1500~3000㎡으로 노후불량 건축물 60% 이상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5월 공모를 거쳐 7월까지 대상지를 선정하고 내년에는 정비구역 지정과 정비계획 수립을 진행한다.
부천시는 지난해부터 소사구 괴안동과 소사본동 일원에서 광역 통합 정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소규모 대지 여건 등으로 사업성이 낮아 개별 정비사업의 어려움을 겪어왔던 단지들이 ‘통합 재건축’으로 정비사업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건축계획은 물론 사업성 개선과 주민 분담금 감소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원도심에 부족한 도로 등을 합리적으로 설치해 쾌적한 정주 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와함께 통합 재건축을 추진하는 경우 용도지역 상향과 용적률 인센티브 부여 등의 혜택을 제공하며, ‘부천형 패스트트랙’을 통해 정비사업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괴안동, 소사본동 일원 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통합 정비계획안을 검토하고, 하반기 중 통합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정비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부천시 도시재생지원센터’의 기능도 확대 개편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