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단양군과 경북 동해안이 세계적인 지질 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11일 환경부에 따르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고 있는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현지시간 10일 단양군과 경북 동해안(포항·경주·영덕·울진 일원)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승인했다. 우리나라의 세계지질공원은 7곳으로 늘었다.
세계지질공원은 지구과학적 중요성을 지닌 지질 유산을 보유한 지역이다. 유네스코의 3대 자연환경 보전지정제 중 하나다. 세계지질공원은 전세계 50개국에서 229곳이 인정됐다.
단양군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카르스트 지형과 독특한 구조지질학적 특성이 있다. 13억 년 이뤄진 지층과 동굴 생성물을 통한 고기후 분석, 지구 대멸종의 흔적 등 한반도 지체 구조 연구의 최적지로 꼽힌다. 경북동해안은 한반도 최대의 신생대 화석산지다. 동아시아 지체구조 형성과 마그마 활동의 주요 흔적, 다채로운 지질 경관을 자랑한다.
환경부는 2012년부터 국가지질공원 제도를 운영한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단양군은 2020년 7월에, 경북 동해안은 2017년 9월에 국가지질공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환경부가 먼저 두 지역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길을 연 셈이다. 이후 두 지자체는 2023년 11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에 세계지질공원 인증 신청서를 제출했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두 곳의 동시 지정은 국가지질공원 제도 운영의 큰 성과”라며 “세계적인 지질공원을 생태․문화와 연계한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