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로 30대 오토바이 운전자가 사망한 가운데, 해당 지역이 2년 전 서울시 용역 보고서에서 이미 '요주의 지역'으로 지정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공개한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연장사업 건설공사 지하 안전영향평가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 발생 지점 인근은 지반이 연약하고 침하량이 큰 지역으로 조사됐다.
2021년 서울시가 발주해 2023년 완성된 이 보고서는 "939 정거장 단층대 구간은 침하량이 비교적 커 이 구간 공사 시 계측 결과에 유의해 정밀 시공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특히 해당 지역은 암석이 변형돼 연속성이 끊긴 단층 파쇄대로, 지반이 취약한 상태였다. 보고서는 이 일대가 상수도관이 지나가고 지하수 유입 가능성이 높아 '땅꺼짐 위험도 4등급'으로 분류했다.
서울세종고속도로 강동 구간 지하터널과 인접한 지점 역시 위험 지역으로 지정됐다. 보고서는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충분히 확보해 강도를 발현한 뒤 다음 단계 시공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외에도 여러 차례 경고가 있었다. 2021년 4월에는 한국터널환경학회가 9호선 연장 공사로 인한 지반침하 우려 공문을 서울시에 전달했다. 서울시도 이 일대를 싱크홀 위험이 가장 높은 5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장 점검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서울시는 지난해 서대문구 성산로 싱크홀 사고 이후 월 1회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계획했으나, 행정 절차 지연으로 이달까지 조사가 진행되지 않았다.
박용갑 의원은 "이러한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원인을 철저히 분석하고, 형식적이 아닌 실질적인 지하안전평가가 이루어지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