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이 자궁경부암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자궁경부암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뉴바이올로지학과 정영태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사람 자궁경부 줄기세포의 정체와 분화 과정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산균이 자궁경부암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정영태 교수님은 우선 면역 기능이 억제된 쥐의 혀에 사람 줄기세포를 이식, 줄기세포의 재생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또 자궁경부 정상 오가노이드와 전암(前癌) 오가노이드 모델을 확립하고, 사람 자궁경부 줄기세포의 정체와 분화 과정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줄기세포보다는 분화가 시작된 전구세포를 증식시키면서 자궁경부암으로 연결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유산균이 젖산을 분비해 바이러스의 효과를 억제하며, 정상 줄기세포의 자기복제뿐 아니라 줄기세포로부터 암세포로 변환되는 초기 과정도 통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네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여성암이다. 최근에는 백신을 통해 선진국에서 발생률이 줄고 있지만 후진국에서는 여전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새로운 예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유산균은 여성의 질 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유익균으로, 지금까지는 이미 발생한 자궁경부암 세포를 억제하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유산균이 암이 발생하기 전 단계에서부터 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정영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유산균이 자궁경부의 건강 유지와 자궁경부암 발생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앞으로 이를 기반으로 자궁경부암 예방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정근오 교수팀, 동국대학교 생명과학과 이민호 교수팀과 공동 연구로 진행됐으며,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