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출산 가정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강원 강릉시는 올해 모자보건사업에 22억원을 투입해 임신·출산 관련 다양한 지원을 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우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산모의 건강한 산후 회복에 기여하고자 산후조리 비용을 지원한다. 신생아 출생일 기준 6개월 이상 강릉시에 거주 중인 산모에게 지역화폐로 최대 50만원을 지급한다. 산모 산후 회복을 위해 출산가정에 건강관리사 파견 서비스도 제공된다. 만 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가정에는 기저귀 월 9만원, 조제분유 월 11만원이 최대 24개월간 지원된다. 올해부터 신청 기한은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 이용 기한은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로 연장됐다.
임신 사전건강관리도 받을 수 있다. 임신 가임력 검사를 희망하는 20∼49세 여성에게 최대 13만원, 남성에게 최대 5만원 검사비를 지원한다. 아이를 원하는 부부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해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또한 기존 난임 부부당 25회에서 출생아당 25회로 확대된다. 시술에 따라 최소 30만원에서 최대 110만원까지 지원한다.
이 밖에도 시는 산후 회복 의료비를 지원하는 산후 건강관리 지원,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미혼모 의료비 지원,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등을 운영한다. 김홍규 시장은 "촘촘한 출산 지원 정책으로 시민들이 임신과 출산에 부담을 갖지 않고 행복한 선택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산모 10명 중 8∼9명은 산후조리원을 이용했으며, 평균 12.6일간 287만원의 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 조사 때보다 43만원 오른 비용이다.
또한 산모 10명 중 6명은 만족스러운 조리를 위해 정부가 산후조리 경비를 지원해줄 것을 희망한다는 의견을 냈다. 다만 산후조리 비용은 정부가 이미 충분히 지원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정부는 부모들이 아이 출산 직후 산후조리원과 육아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출생아당 200만원 이상의 바우처 '첫만남이용권'을 지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