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당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 내란에 연루된 인물들과 수차례 통화를 해 내란에 동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박현수(54)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가 의혹 부인에 나섰다.
18일 오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업무보고에 출석한 박 직무대리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내정 철회 요구에 "계엄 관련 기본적 상황 정도는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통화했다"며 "계엄과 관련해 일체 관여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당시 행안부 경찰국장이었던 박 직무대리는 계엄 선포 직후 조지호 경찰청장과 이상민 당시 행안부 장관, 임정주 경찰청 경비국장 등과 수차례 통화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달 7일 박 직무대리가 치안정감으로 승진하는 동시에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구속기소로 공백이 된 서울경찰의 수장직의 직무대리로 내정되자 야권은 반발에 나섰다. 박 직무대리가 경찰의 국회의사당 통제 등에 관여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날 박 직무대리는 계엄과 관련해 업무 명령을 받은 바 없다며 선긋기에 나섰다. 박 직무대리는 비상계엄 선포가 위헌·위법하냐고 묻는 양부남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잘못된 조치라는 것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박 직무대리의 승진 인사가 '친윤' 인사라고 주장해온 야당 의원들이 "조기 대선이 진행될 경우 정치적 중립을 지킬 수 있겠냐"고 지적하자 박 직무대리는 "엄정한 대선 상황 관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경찰청이 들여다보고 있는 서울서부지법 난동사태나 헌법재판소 습격 모의,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 내란 선동 의혹 등과 관련해서도 박 직무대리는 "법과 원칙에 따라 최선을 다하겠다"며 원론적인 대답을 내놨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도 이 자리에 출석해 박 직무대리의 초고속 승진 인사의 배후에 대통령실이 있는 것 아니냐는 야당 의원들의 지적에 적극 부인에 나섰다. 이 직무대행은 "빠른 감이 있지만 잘못됐다고 보지 않는다"며 서울경찰청장 공백 사태를 언급, "상위직 인사를 하지 않으면 일선 치안에 문제가 생긴다"고 반박했다.
정진석 비서실장, 김주현 민정실장,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에게 전화를 받았거나, 박 직무대리를 추천한 사람이 있냐는 질문에 이 직무대행은 "전화가 오지 않았다", "인사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답할 수 없다"고 답했다. 박 직무대리가 현재까지 비상계엄과 관련해 경찰의 참고인 조사를 받으며 의혹을 소명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 직무대행은 박 직무대리가 피의자로 전환되면 바로 인사 조치를 하겠다고도 밝혔다.
한편 박 직무대리는 이달 7일 치안정감으로 승진하면서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로 전보됐다. 박 직무대리는 현 정부에서만 경무관에 이어 치안감, 치안정감으로 초고속 승진했다. 1971년생인 박 직무대리는 서대전고를 졸업해 경찰대 10기로 입학, 1994년에 입직했다. 이후 광진경찰서장, 경찰청 위기관리센터장을 역임한 뒤 윤석열 정부 들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사검증팀, 대통령실 국정상황실 파견 근무를 거쳐 지난해 행안부 경찰국장으로 임명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