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올해 5대 분야 87개 과제에 2328억 원을 투입하는 '경남도 양성평등정책 시행 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계획은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3~'27)을 바탕으로 도내 성평등 지수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와 연계했다.
우선 공공부문 성별 임금격차 실태조사를 진행해 성평등 고용임금 공시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여성 맞춤형 창업과 직업훈련을 하고, 경력보유 여성의 면접 정장 대여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가족친화인증 기업(기관)을 18곳으로 확대하고, 출산·육아 휴직자 대체 인력 충원 등 일생활 균형 문화를 확산한다.
돌봄 안전망을 구축하고자 국공립 어린이집을 확충하고, 청소년 부모 등 다양한 양육자 지원, 손주돌봄 지원사업, 아이돌봄서비스 확대, 맞벌이 가정 방학 중 급식 지원 등을 추진한다.
도내 서부·북부권에 공공산후조리원 2곳을 신설하고, 발달장애인 긴급 돌봄 등 공적 돌봄을 강화한다.
가정폭력·스토킹·디지털성범죄 등 5대 폭력 피해자의 연중 상담·의료·법률·수사 등을 통합 지원한다. 경찰·여성긴급전화 1366과 협업해 젠더폭력 재발방지 통합관리사업을 운영한다.
여성장애인의 출산 비용을 지원하고 의령 등 8개 군 지역의 분만 취약지 임산부에게 119안심 출산 서비스를 제공한다. 난임시술비와 진단검진비를 지원하고, 영구적 불임예상 생식세포 동결보존 사업을 처음 추진한다.
찾아가는 양성평등 교육을 진행하고, 여성친화도시를 10개 시군으로 확대한다. 5급 이상 여성공무원과 공공기관 여성 임원 비율을 높이고, 위원회 위촉직 여성 비율을 40% 이상 유지한다.
양성평등정책의 이행력과 실행력을 높이고자 성인지 예산제도를 운영하고, 추진 과정에서 도민이 직접 정책에 참여해 의견을 반영하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도는 상·하반기에 걸쳐 양성평등정책 시행계획의 추진 상황을 점검해 이행력을 강화한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양성평등은 우리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 가치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인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며 “다양한 의견과 제안들을 정책에 반영해 도민 모두가 행복하고 평등한 삶을 누릴 수 있는 희망의 경남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