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정상회담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미국산 무기 구매’ ‘에너지 수입 확대’ 등 선물 보따리를 한가득 안겼다. 대선 때부터 인도를 “무역에 있어 큰 악당”이라 비판해온 트럼프 대통령을 달래며 고율 관세를 피하고자 하는 의도가 깔렸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13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진행한 공동 기자회견에서 인도의 무기 구매 및 에너지 수입 확대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부터 우리는 인도에 대한 군사 판매를 수십억 달러 늘릴 것이며 우리는 인도에 F-35 스텔스 전투기를 제공하기 위한 길을 닦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자력 에너지, 인공지능(AI), 첨단기술 등의 분야에서도 협력하기 위해 미국·인도 간 협력 프레임워크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양국은 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미국이 인도에 해양 정찰기 P-81 6대를 추가로 공급하고 재블린 대전차 미사일, 스트라이커 장갑차의 인도 내 공동 생산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농산물 교역을 늘리고 미국산 공산품의 인도 수출을 확대하는 등 양국 간 무역을 더 활성화하는 데도 협의했다.
트럼프발 상호 관세가 임박한 가운데 모디 총리가 무역 불균형 해소, 거액의 구매 약속을 담보로 인도 상품에 대한 관세율 조정을 요청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인도의 관세에 대해 모디 총리의 면전에서 “인도는 많은 상품에 대해 30~70% 관세를 부과하고 어떤 경우에는 그보다 더 높다”며 “미국의 인도에 대한 무역적자는 1000억 달러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부터 인도를 “무역에 있어 매우 큰 악당”이라고 부르며 관세 부과를 통해 불균형을 바로잡겠다고 공언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디 총리와 나는 오랜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협상을 갖기로 했으며 (무역) 협상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모디 총리 역시 “우리는 양국 교역량을 2030년까지 5000억 달러로 두 배 이상 늘리는 목표를 세웠다”며 “우리는 상호 호혜적인 무역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