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우리나라 탈모 인구가 1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세상의 절반은 탈모인, 나머지 절반은 탈모 예정인'이라는 말까지 나돌고 있다.
탈모로 고민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희소식이 생겼다. KAIST 연구진이 천연 폴리페놀의 일종인 탄닌산이 탈모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6일 KAIST는 화학과 이해신 교수 연구팀이 탄닌산 기반 코팅 기술을 활용해 탈모 완화 기능성 성분을 서서히 방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탄닌산이 모발의 주요 단백질인 케라틴과 강하게 결합해 모발 표면에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를 활용해 특정한 탈모 완화 기능성 성분을 방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살리실산과 니아신아마이드, 덱스판테놀 등 탈모 완화 기능성 성분 조합을 개발해 이를 '스캔달'이라고 이름붙였다. 탄닌산과 결합된 스캔달은 수분과 접촉하면 점진적으로 방출되며, 모발 표면을 따라 모낭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굿모나인원이 탄닌산과 스캔달 복합체가 포함된 샴푸를 12명 환자에게 7일간 적용한 결과 유의미한 탈모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56% 모발 탈락 감소 효과가 있었고 최대 90%까지 감소하는 사례도 확인됐다.
이 교수는 "탄닌산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단백질과 강하게 결합하는 특성이 있어 생체 접착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끊어지는 얇은 헤어 강도를 늘리는 샴푸, 곱슬머리를 펴 주는 샴푸 등 다양하게 기술을 제품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KAIST 교원창업기업 폴리페놀펙토리가 지난해 4월 선보인 탈모완화 샴푸 그래비티에 적용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